
이재명 대통령, G20 정상 기념촬영 [자료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 일정을 마무리하고, 이번 중동·아프리카 순방의 마지막 방문국인 튀르키예로 출국했다.
이로써 이 대통령은 지난 6월 취임 이후 숨 가쁘게 이어져 온 올해의 주요 다자 정상외교 일정을 사실상 마무리하게 되었다.
이 대통령은 지난 21일 아랍에미리트(UAE)와 이집트 방문을 마친 뒤 남아공 요하네스버그에 도착했으며, 22일부터 23일까지 G20 정상회의 회원국 자격으로 3개 공식 세션에 참석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 이 대통령은 국제적 포용 성장을 위한 3가지 해법으로 △개발도상국의 부채 취약성 완화 △다자무역체제 기능 회복 △개발 협력의 효과성 향상을 제시했다.
이어진 세션에서는 한국이 기후 위기 대응을 강화하고 '글로벌 인공지능(AI) 기본사회' 달성을 위해 국제사회에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또한, 이 대통령은 프랑스 및 독일 정상과의 양자 회담, 인도 및 브라질 정상과의 양자 회동, 한국 주도의 중견 5개국 협의체인 믹타(MIKTA) 회동 등 별도의 외교 일정을 틈틈이 소화했다.
튀르키예는 지난 17일 출발한 7박 10일 간의 중동·아프리카 순방의 최종 방문국이다.
이 대통령은 튀르키예에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며, 이 자리에서 방산 및 원자력 분야 협력 강화 방안 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 약 2주 만에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한 것을 시작으로, 9월과 10월에는 유엔총회와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에 출국했다.
이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의장국으로 개최했으며, 이번 G20까지 연이어 다자 외교 일정을 소화했다.
대통령실은 지난해 비상계엄 등 혼란한 정국으로 외교적 불확실성이 야기되었으나, 이 대통령의 연이은 다자회의 참석을 계기로 한국이 국제사회에 성공적으로 복귀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다만, 한중일 3국 정상회의는 조율 중이지만 연내 성사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외교 일정을 거의 마친 이 대통령은 귀국 후 당분간 사법 개혁을 비롯한 각종 경제·사회 분야 개혁, AI 전환 대응, 관세 협상 후속 조치 등 국내 문제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힐링경제=홍성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