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생성형AI]

올해 3분기까지 국내 은행의 당기순이익이 21조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환율 하락으로 인한 외환·파생 이익 증가가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금융감독원이 20일 발표한 '2025년 1~3분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국내 은행의 당기순이익은 21조1천억원으로 작년 동기(18조8천억원) 대비 2조3천억원(12.0%) 증가했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이자 이익은 44조8천억원으로 작년 동기(44조4천억원)보다 3천억원(0.7%) 증가했다. 순이자마진(NIM)이 0.07%포인트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자수익 자산이 3천413조5천억원으로 4.5% 증가하면서 이자 이익도 함께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비이자이익은 6조8천억원으로 작년 동기(5조7천억원)보다 1조1천억원(18.5%) 증가했다. 환율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외환·파생 관련 이익이 2조6천억원 증가한 것이 주된 요인이다.

영업외손익은 1조6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3조1천억원 증가하며 흑자로 전환했다. 작년 상반기 일회성 비용이었던 홍콩 주가연계증권(ELS) 배상금이 제외됐고, 은행의 자회사 등 투자지분 손익이 증가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편 판매비와 관리비는 20조7천억원으로 작년 동기(19조4천억원) 대비 1조2천억원(6.3%) 증가했다. 인건비와 물건비가 모두 늘어났다.

대손비용은 4조7천억원으로 작년 동기(4조6천억원) 대비 1천억원(2.4%) 증가했다. 원화 대출 연체율이 꾸준히 상승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금감원은 "환율 하락에 따른 외환·파생 관련 이익의 일시적 증가, 작년 ELS 배상금 기저효과 제외 등에 주로 기인했다"며 "이자이익은 금리 하락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수준이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금감원은 이어 "향후 미국 관세정책 등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대손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며 "은행에 손실 흡수 능력 확충과 건전성 관리 강화를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힐링경제=윤현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