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 대형마트 달걀 매장 [자료사진=연합뉴스]

지난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만에 2%대로 다시 올라서며 물가 안정세에 제동이 걸렸다.

달걀을 비롯한 축산물과 가공식품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전체 물가를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데이터처가 2일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7.06(2020년=100)을 기록해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6월과 7월 2%대를 유지했다가 8월에는 SK텔레콤 해킹 사태로 인한 요금 인하 효과로 1.7%까지 둔화된 바 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가공식품 물가가 전월과 같은 4.2% 상승률을 보이며 전체 물가를 0.36%포인트 끌어올렸다. 특히 빵이 6.5%, 커피가 15.6% 오르는 등 높은 상승세를 나타냈다.

가공식품 상승세의 영향으로 공업제품 물가는 2.2% 상승해 지난 1월 이후 8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축산물과 수산물 가격 상승세도 두드러졌다.

축산물은 5.4%, 수산물은 6.4% 각각 올랐다. 국산 소고기는 4.8%, 돼지고기는 6.3%, 고등어는 10.7% 상승했다. 비록 전월 대비 상승폭은 다소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전체 물가 상승률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특히 달걀 가격은 추석 명절을 앞두고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월 8.0%보다 상승폭이 확대된 9.2%를 기록했다. 이는 2022년 1월(15.8%) 이후 3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이다.

반면 농산물 물가는 1.2% 하락했다. 채소류 물가가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12.3% 하락 전환한 것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다만 쌀은 15.9%, 찹쌀은 46.1% 오르는 등 일부 품목에서는 높은 상승률이 관찰됐다.

공공서비스 물가는 8월 SK텔레콤 효과로 3.6% 하락했던 것에서 9월에는 1.2% 상승으로 전환됐다.

외식 물가는 3.4% 올랐다. 배달료 인상과 작년 명절 세일 행사에 따른 기저효과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전월 3.1%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외식을 포함한 개인서비스 물가는 2.9% 상승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를 반영하는 생활물가지수는 2.5% 올라 전월 1.5%보다 상승폭이 크게 확대됐다.

날씨 영향을 많이 받는 신선식품지수는 2.5% 하락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2.0% 상승했다.

이두원 국가데이터처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물가 상승 영향에 대한 질문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답했다.

[힐링경제=윤현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