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 [자료사진=연합뉴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발언으로 중일 갈등이 고조된 가운데 중국이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또다시 중지한다는 통보를 했다고 교도통신이 19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이날 아침 정식 외교 경로를 통해 이 같은 의사를 전달했다.
다카이치 총리가 대만 유사시에 일본이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이후 일본 여행·유학 자제 권고, 일본 영화 상영 연기 등 전방위적 압박을 가하고 있는 중국이 추가 제재 카드를 꺼낸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일본이 2023년 8월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 방류를 시작하자 곧바로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했다.
이후 오염수 방류 이전 수입을 금지했던 후쿠시마현, 미야기현 등 10개 광역지자체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나온 수산물 수입을 재개한다고 지난 6월 밝혔다.
이달 5일 홋카이도 냉동 가리비 6t이 일본을 떠나 중국으로 향하면서 중국은 2년여 만에 일본산 수산물을 수입했다. 그러나 약 보름 만에 다시 수입 중지를 결정한 것이다.
교도통신은 중국 측이 오염수 모니터링이 필요해 수입을 중지한다는 주장을 폈다고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전했다.
중국 외교부는 지난 7일 브리핑에서 "중국의 주관 부문은 엄격하게 법과 규정에 따라 일본산 수산물의 대중국 수출에 대한 관리와 감독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식품 안전을 보장할 것"이라며 "만약 어떠한 위험 요소라도 발견되면 즉시 법에 따라 수입 제한 조처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중국은 일본 후쿠시마 핵 오염수에 대한 국제 모니터링과 중국 자체의 샘플 채취 모니터링을 계속 시행할 것"이라면서 "중국은 일본이 이를 지속적으로 허용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일본산 수산물 수입 재개 결정 시 일본 측에 관련 시설 등록과 방사성 물질 검사 증명서 제출 등을 요구했다. 중국에 수산물을 수출하겠다고 신청한 시설은 697곳에 달하지만, 실제 허가된 시설은 3곳에 불과하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
이는 중국이 형식적으로는 수입 재개를 표방하면서도 실질적으로는 수입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대일 압박을 지속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조치는 다카이치 총리의 대만 관련 발언에 대한 중국의 강력한 불만을 드러낸 것으로, 중일 관계의 추가 악화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일본 수산업계는 중국이라는 주요 수출 시장을 다시 잃게 되면서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힐링경제=김재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