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수 한국은행 금융통계팀장(왼쪽에서 두번째)

올해 3분기(7~9월) 우리나라 가계부채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다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다만 6·27 대책 등의 영향으로 증가 속도는 눈에 띄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8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68조3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분기 말(1,953조3천억 원)보다 14조9천억 원 증가한 수치로,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 공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그러나 증가 폭은 역대 최대였던 2분기(25조1천억 원)에 비해 약 10조 원(40%) 감소하며 확연한 둔화를 보였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액(판매신용)을 더한 ‘포괄적 가계부채’를 의미한다.

우리나라 가계신용은 통화 긴축 여파로 지난해 1분기 3조1천억 원 줄었다가 곧바로 반등해, 올해 3분기까지 6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판매신용을 제외한 순수 가계대출 잔액은 1,845조 원으로 전 분기 대비 12조 원 증가했다. 이는 전 분기(23조6천억 원) 증가 폭의 절반 수준이다.

한국은행 김민수 금융통계팀장은 “6·27 대책으로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줄었고, 신용대출 한도가 차주 연소득 이내로 축소되면서 신용대출은 감소세로 전환됐다”며 “전체 가계대출 증가 폭도 2분기보다 뚜렷하게 줄었다”고 설명했다.

또 가계신용 증가율이 3분기 0.8%로 둔화된 데다, 실질 GDP 성장률(1.7%) 등을 고려하면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3분기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123조3천억 원)은 3조 원 증가했다.

김 팀장은 “민간 소비 회복, 여름 휴가철 카드 사용 증가, 지방세 납부 등이 맞물리며 판매신용이 늘었다”고 말했다.

[힐링경제=윤현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