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특검팀 현판식 [자료사진=연합뉴스]

김건희 여사와 관련된 각종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이른바 ‘집사 게이트’에 대한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특검팀은 김 여사의 오랜 측근으로 알려진 김모 씨가 복수의 대기업으로부터 거액의 자금을 부정하게 수수한 정황을 포착하고, 해외 도피 및 증거인멸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문홍주 특별검사보는 9일 서울 서초동 특검 사무실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지난달 수사 준비 기간 중 코바나컨텐츠 관련 전시회 협찬자들이 이후 설립한 렌터카 회사를 통해 도이치모터스로부터 사업상 혜택을 받고, 또다시 대기업 및 금융회사 등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금액의 자금을 투자금 명목으로 수수한 사실을 확인했다”며 “이에 따라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특검팀에 따르면 주 피의자인 김씨는 ‘김 여사의 집사’로 불릴 정도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온 인물로, 2023년 자신이 설립한 렌터카 업체 IMS를 통해 카카오모빌리티와 HS효성그룹 계열사 등으로부터 약 180억 원 규모의 투자를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문 특검보는 “IMS는 당시 수백억 원의 누적 적자를 기록하고 있었으며, 사업성과나 수익성 측면에서 정당한 투자 판단으로 보기 어려운 점이 있다”며 “김씨가 김건희 여사와의 친분을 내세워 일종의 ‘로비 창구’ 역할을 한 것이 아닌지 의심된다”고 밝혔다.

김씨는 도이치모터스로부터 BMW 차량 50대를 지원받아 사업에 활용한 정황도 확인됐다. 도이치모터스는 김 여사의 주가조작 연루 의혹 사건과도 연결된 기업으로, 이번 수사의 핵심 접점이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김씨는 올해 4월 해외로 출국한 이후 지금까지 귀국하지 않고 있으며, 사무실과 가족들의 거주지 또한 모두 이전된 상태다. 특검팀은 이를 두고 ‘해외 도피 및 조직적 증거 인멸’의 정황으로 보고 있다. 문 특검보는 “김씨에 대해 여권 무효화 절차를 밟고 있으며, 조만간 인터폴 수배 등 강제조치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건은 특검 내부에서도 ‘집사 게이트’로 불리고 있다. 그간 김씨는 김 여사의 모친 최은순 씨의 지시로 잔고 증명서를 위조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전력이 있는 인물이다. 김 여사와의 관계는 2010년 서울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과정을 함께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검팀은 이번 의혹에 대한 강제 수사를 시도했으나, 법원은 “특검법상 수사 대상이 아니다”는 이유로 압수수색영장을 기각했다. 이에 대해 문 특검보는 “현행 법률상 이번 사건은 분명히 특검 수사 대상에 해당한다는 입장”이라며 “압수수색영장 재청구를 검토 중”이라고 반박했다.

또한, 강제수사 외에도 자료 임의제출 요청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사를 병행하고 있으며, 법원이 수사 타당성을 인정할 수 있도록 충분히 소명한 뒤 다시 영장을 청구할 방침이다. 문 특검보는 “관련 기업과 인물들의 휴대전화 교체, 자료 삭제 등 증거인멸 정황이 나타나고 있어, 필요시 즉각적인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했다.

특검팀은 이번 수사를 통해 김 여사와 관련된 각종 대기업 후원 및 부당거래 의혹 전반에 대한 실체를 밝힌다는 방침이다. 김씨가 IMS를 통해 확보한 투자금의 성격과 흐름, 그리고 그것이 김 여사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지 여부가 향후 수사의 핵심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민중기 특검팀은 앞으로도 ‘오너리스크’가 걸린 대기업과의 수상한 자금 흐름에 대해 철저한 검증을 이어가며, 모든 의혹을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힐링경제=홍성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