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연합뉴스]
최근 발표된 한국개발연구원(KDI)의 '7월 경제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경제는 1차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경기 부진의 흐름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진단됐다. 건설업과 제조업의 동반 침체, 대외 환경 악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경기 회복의 가시적 성과가 미진하다는 평가다.
KDI는 “최근 우리 경제는 건설업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대외 여건도 악화하며 경기가 전월과 비슷한 정도의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지난 5월 2년여 만에 “경기 둔화”라는 표현을 다시 사용한 이후, 7월에도 동일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추경 효과의 가시성이 아직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보고서는 5월 산업활동동향과 6월 수출입 통계 등 최근 경제지표를 종합적으로 반영한 결과다. 특히 건설업의 장기적인 부진과 함께 제조업도 조정을 겪으며 생산 증가세가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분야는 수출과 생산이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갔지만, 자동차 등 관세 인상 품목을 중심으로 미국 수출이 부진을 보이며 전체 제조업 생산 확대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실제로 산업통계에 따르면 5월 제조업 생산은 전월 대비 3.0% 감소했으며, 자동차 분야는 -2.0%를 기록하며 두 달 연속 하락했다. 특히 자동차·건설업 부진이 금속가공 분야까지 악영향을 미치며 금속가공 생산은 -6.9%로 크게 줄어들었다.
다만 내수 분야에서는 일부 긍정적인 흐름이 감지된다. 1차 추경이 재난 극복 등 긴급 대응에 집중된 것과 달리, 2차 추경안은 경기부양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향후 소비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소비자심리는 눈에 띄게 개선되는 모습이다. 6월 소비자심리지수는 108.7로 전월의 101.8보다 큰 폭으로 상승하며, 국민들의 경제에 대한 인식이 회복세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된다. KDI는 “소비심리가 회복세를 보이며 내수 여건이 개선될 가능성을 시사했다”며 “고금리 기조가 점차 완화되고, 2차 추경이 편성되면서 소비 회복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대외적으로는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특히 상호관세 유예 종료가 임박함에 따라 통상 이슈에 대한 우려는 지속되고 있으며, 경기 회복세에 불확실한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이번 보고서는 경기 부진이 단기간에 회복되기 어려운 구조적 문제를 내포하고 있음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키며, 추가적인 재정정책의 효과적인 집행과 대외 리스크 대응 전략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힐링경제=윤현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