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연합뉴스]
국내 소상공인들이 창업 후 평균 6년 6개월 동안 영업을 지속한 뒤 폐업하며, 이 과정에서 평균 1억 원이 넘는 부채를 남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1월 21일부터 2월 18일까지 2021년 이후 노란우산 폐업공제금을 받은 소상공인 820개사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이들 소상공인의 창업 후 폐업까지의 평균 영업 기간은 6년 6개월로 나타났다.
특히 창업 후 3년 이내 폐업한 비율이 39.9%에 달해, 단기 폐업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소상공인들이 폐업을 결심하게 된 이유로는 수익성 악화와 매출 부진이 86.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적성 및 가족과 관련된 개인 사정(28.7%), 신규 사업 창업 및 준비(26.0%), 임대 기간 만료 및 행정처분 등 불가피한 사유(21.8%)가 뒤를 이었다.
수익성 악화와 매출 부진의 원인으로는 △ 내수 부진으로 인한 고객 감소 △ 인건비와 물가 상승으로 인한 원재료비 부담 증가 △ 임대료 등 고정비용 상승 등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됐다.
특히 숙박·음식업의 경우 배달앱과 숙박앱 등 온라인 플랫폼사의 수수료 및 광고비 부담(35.6%)이 평균(16.3%)보다 높은 비율로 나타나, 온라인 플랫폼의 비용 부담이 심각한 문제로 작용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폐업을 결심한 시점에서 소상공인들의 평균 부채액은 1억 236만 원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1억 4,441만 원으로 가장 높았고, 숙박·음식업의 부채액은 9,046만 원으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다.
폐업 과정에서 발생한 비용은 평균 2,188만 원으로 집계됐다.
주요 항목으로는 △ 철거비 518만 원 △ 원상복구 비용 379만 원 △ 종업원 퇴직금 563만 원 △ 세금 420만 원 등이 포함됐다.
특히 제조업의 폐업 비용(3,859만 원)이 숙박·음식업(1,219만 원)의 3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폐업 소상공인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생계 유지 방안 마련’(31.1%)이 꼽혔다.
그 외에도 ‘권리금 회수 및 업체 양도’(24.3%), ‘대출금 상환’(22.9%) 등이 뒤를 이었다.
폐업 소상공인 중 71.1%는 노란우산 공제금이 폐업 과정에서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했으며, 58.9%는 공제금을 생계비로 사용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폐업 소상공인 중 78.2%는 ‘희망리턴패키지’, ‘새출발기금’ 등 정부 지원 제도를 활용하지 않았다고 답해, 정부 지원책의 접근성과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폐업 후 재창업하지 않은 응답자 400명 중 59.3%는 동일한 소득 수준이 보장된다면 취업을 선호한다고 답했다.
폐업 이후 취업을 위해 필요한 지원책으로는 ‘전직 장려금 확대’, ‘양질의 지역 일자리 확보’, ‘취업 알선 및 안내 강화’ 등이 꼽혔다.
한편, 성공적인 재창업을 위해 필요한 지원책으로는 ‘재창업 자금 지원’과 ‘채무 조정’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지적됐다.
폐업 소상공인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정부 정책으로는 △ 대출금 상환 유예 및 이자 감면 △ 폐업 비용 지원 △ 진로 지원 △ 자영업자 고용보험 및 노란우산 공제 확대 등이 언급됐다.
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국내 소상공인들은 창업 후 짧은 기간 내에 폐업하는 경우가 많으며, 상당한 부채를 떠안고 사업을 정리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정부 차원의 보다 적극적인 금융 지원과 폐업 후 재취업·재창업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힐링경제=윤현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