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 [자료사진=연합뉴스]

러시아가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제안한 30일 휴전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12일, 러시아 정부 관계자들은 휴전 결정은 외부의 압력이 아닌 자국의 판단에 따라 이루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러시아 연방의 입장은 합의나 당사자의 노력으로 해외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다"라며 "러시아 연방의 입장이 만들어지는 것은 러시아 연방 내에서이다"라고 밝혔다.

이는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전날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고위급 회담을 통해 30일간의 휴전을 추진하기로 한 데 대한 러시아의 첫 공식 반응으로 볼 수 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도 비슷한 맥락의 발언을 했다.

그는 미국 블로거들과의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 위기의 맥락에서 러시아는 국민의 생명을 위태롭게 할 타협을 피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고 있다"라고 말했다.

콘스탄틴 코사체프 러시아 상원의원은 더 나아가 우크라이나와 관련한 협상은 미국이 아닌 러시아의 조건에 따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진격하고 있으므로 이는 러시아에는 다른 문제"라면서 "타협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을 포함한 모든 합의는 미국이 아닌 우리의 조건에 따라 이뤄져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한편, 미국과 우크라이나는 3월 11일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8시간 이상의 고위급 회담을 가진 후 공동 성명을 통해 30일간의 휴전 제안을 발표했다.

우크라이나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는 이 제안이 "미사일, 드론, 폭격 공격을 중단하고 흑해뿐만 아니라 전선 전체에 걸쳐 적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국무장관 마르코 루비오는 "우크라이나가 휴전과 즉각적인 협상 개시를 수락했다"며 "이제 공은 러시아 쪽에 넘어갔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휴전 계획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상황에서 세르게이 나리시킨 러시아 대외정보국(SVR) 국장과 존 랫클리프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이 전화통화를 하고 양국간 대립 완화를 위한 정기적 접촉에 합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는 양국 간 긴장 완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될 수 있다.

현재 러시아의 공식 입장은 신중한 것으로 보이나, 향후 며칠 내에 휴전 제안에 대한 더 구체적인 반응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 사회는 러시아의 결정을 주목하고 있으며, 이 결정이 3년 넘게 지속된 우크라이나 전쟁의 향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힐링경제=김재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