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연합뉴스]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직장인 4명 중 3명은 자신의 집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 급등과 강화된 대출 규제 속에서 청년층의 '내 집 마련' 꿈이 점점 더 멀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24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 주택소유통계와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가구주 기준) 무주택 가구는 52만7729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보다 1만7215가구 증가한 수치로,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5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는 2015년 47만5606가구에서 2018년 45만6461가구까지 줄었다가, 2019년부터 6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증가 폭도 해마다 커지고 있다. 2021년 3000가구대에서 2022년 1만5000가구대로 늘었고, 2023년과 지난해에는 1만7000가구대를 기록했다. 특히 작년 증가 폭은 역대 가장 컸다.
이러한 무주택 가구 증가는 서울 집값의 가파른 상승과 맞물려 있다. 2019년 이후 서울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청년층의 주택 구매가 더욱 어려워진 것이다.
반면 서울의 30대 집주인은 3년째 줄고 있다. 지난해 서울 30대 주택 소유가구는 18만3456가구로 전년보다 7893가구 감소해 역대 가장 적은 수준을 기록했다.
무주택 가구가 주택 소유가구보다 2.9배 많아, 그 격차는 역대 가장 큰 수준으로 벌어졌다.
서울 30대 주택 소유가구는 2015년 23만7000가구 수준에서 꾸준히 감소하다가 2021년 소폭 증가했지만, 이후 다시 줄어들어 2023년에는 19만1349가구로 '20만 선'이 무너졌다.
무주택 가구는 늘고 주택 소유가구는 줄면서 주택 소유율도 계속 하락했다.
지난해 서울의 30대 가구 가운데 주택 소유가구의 비중을 뜻하는 주택 소유율은 25.8%를 기록했다. 이는 30대 가구주 4명 중 집을 소유한 사람은 1명뿐이라는 의미다.
서울 30대 주택 소유율은 2015년 33.3% 수준이었으나 2020년 30.9%까지 떨어졌고, 2021년 31.2%로 소폭 반등한 뒤 2022년 29.3%로 다시 하락해 지난해 25%대까지 내려왔다.
전국 30대 주택 소유율은 36.0%로 6년째 하락해 마찬가지로 역대 최저치를 나타냈지만, 서울과는 10%포인트 이상 차이가 난다. 서울 집중과 서울 중심의 집값 급등이 청년층 자가 마련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취업과 결혼 시기 지연이 주택 매입 시기를 늦추는 점도 한 요인으로 분석된다. 국가데이터처 관계자는 "서울은 특히 1인 가구가 많다 보니 주택 소유율이 낮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혼인이 늦어지고 1인가구가 증가하는 추세 속에서, 사회 초년생들이 생애 첫 내 집 마련 시기를 미루거나 포기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정부가 올해 내놓은 강력한 부동산 정책으로 주택시장 진입장벽이 더욱 높아졌다는 관측도 나온다.
주택담보대출비율(LTV) 등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현금 부자만 내 집 마련이 가능하다"는 청년층의 자조가 커지고 있다.
서울과 수도권 규제지역의 경우 LTV가 50%에서 40%로 강화됐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기준도 엄격해져 청년층의 주택 구매가 더욱 어려워졌다.
생애 최초 무주택자에게는 LTV 70%를 적용해주지만, DSR 규제와 대출 상한은 동일하게 적용돼 실질적인 대출 가능 금액이 제한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년층은 1인가구라도 주거 안정과 자산 형성을 위한 내 집 마련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토지주택연구원이 지난달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만 19~39세 청년 무주택 1인 가구 700명을 대상으로 작년 8~9월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83.2%가 '향후 내 집 마련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청년 주거 안정을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 정책으로는 '주택 구입자금 지원'이 24.3%로 가장 많았고, '전세자금 지원'이 22.3%로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공공임대주택 공급'(18.6%), '공공분양주택 공급'(14.4%) 순이었다.
서울 30대의 주택 소유율이 역대 최저로 떨어진 것은 단순한 통계 수치를 넘어, 청년층의 주거 불안정과 자산 형성 기회 감소라는 심각한 사회 문제를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청년층의 주거 안정을 위해서는 실질적인 주택 구입자금 지원 확대, 청년 맞춤형 공공주택 공급 증대, 대출 규제의 합리적 조정 등 다각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서울에서 집을 마련하려면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4년 가까이 모아야 하는 현실 속에서, 청년층의 '내 집 마련' 꿈을 되살릴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힐링경제=윤현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