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트닉 만나고 나오는 한국 측 협상단 [자료사진=연합뉴스]
한국과 미국이 22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무역 합의를 최종 도출하기 위한 막바지 협상을 진행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워싱턴DC에 있는 미국 상무부 청사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약 2시간 동안 회담을 가졌다.
회담 직후 김용범 실장은 기자들과 만나 "남아있는 쟁점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했다"며 "일부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잔여 쟁점이 한두 가지라며 "아주 많지는 않다"고 말하면서도 "논의를 더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협상이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막바지 단계는 아니고, 협상이라는 건 끝날 때까지 끝난 건 아니다"라고 신중한 입장을 표명했다.
김 실장은 구체적인 쟁점 내용이나 진전 사항에 대해서는 언급을 자제했다. 다만 미해결 쟁점으로는 3500억 달러(약 500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 구성 방안과 관련해 현금 비율, 자금 공급 기간 등이 논의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김 실장은 이날 오전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면서 "많은 주제는 의견이 많이 근접해 있고, 한두 가지 주제에서 양국의 입장이 차이가 크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많은 쟁점에 대한 이견은 어느 정도 조율이 돼 있고, 우리가 이번에 온 추가 주제에 대해 우리 입장을 미국이 조금 더 진지하게 이해해준다고 하면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입국 당시의 이러한 언급과 회담 후 "일부 진전"이라는 표현을 종합할 때, 양국 간 입장차가 일정 부분 좁혀진 것으로 해석된다.
김 실장과 김 장관이 미국을 찾아 러트닉 장관을 만난 것은 지난 16일 이후 엿새 만이다. 이들은 당시 협상에서 만찬을 포함해 4시간 넘게 회담하며 상당 부분 이견을 좁혔으나, 한두 가지 남은 쟁점을 논의하기 위해 한국으로 귀국한 뒤 재차 방미한 것이다.
김 실장과 김 장관은 회담 직후 곧바로 애틀랜타로 이동해 귀국할 예정이다. 짧은 일정으로 이뤄진 이번 방문은 마지막으로 남은 핵심 쟁점에 대한 한국 측 최종 입장을 제시하고 미국 측 반응을 확인하는 자리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김 실장은 러트닉 장관과 곧 다시 만날 것이냐는 질문에 "만나기는 어렵다. (더 얘기할 게 있으면) 화상으로 해야 하지 않겠나"라고 답했다.
이달 31일 경주에서 개막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전 타결될 것으로 보는지에 대해서는 "(APEC이) 우리에겐 중요한 계기"라고 말해, APEC 개막 전 합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힐링경제=홍성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