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정자원 배터리 살피는 감식반 [자료사진=연합뉴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로 중단된 정부 전산망 복구작업이 나흘째 이어지고 있으나, 전체 복구율은 아직 10%대에 머물고 있다.
9월 3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기준 장애가 발생한 647개 시스템 가운데 87개가 정상화돼 복구율은 13.4%에 그쳤다. 중요도가 높은 1등급 업무는 36개 중 21개가 정상화돼 58.3%의 복구율을 보였다.
정부와 관계기관이 화재 발생 직후부터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여전히 상당수 시스템이 중단돼 국민 불편이 지속되고 있다.
대전센터는 2층부터 5층까지 총 9개 전산실로 구성돼 있으며, 화재가 발생한 5층에는 7번, 7-1번, 8번 전산실이 위치해 있다.
중대본에 따르면 7번 전산실에 200개, 화재가 직접 발생한 7-1번 전산실에 96개, 8번 전산실에 34개 등 전체 시스템의 절반이 넘는 330개가 집중돼 있어 피해 규모가 크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화재 영향이 적은 2층부터 4층까지의 시스템은 재가동 중이며, 5층 7-1번 전산실을 제외한 나머지 시스템은 분진 제거 후 재가동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 차장은 "직접 피해를 입은 96개 시스템도 대구센터 이전과 민간 협력을 통해 복구를 추진 중"이라며 "다만 일부 시스템은 다수 기관과 연계돼 있어 복구가 다소 지연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차장은 "지자체 현장점검 결과 주민등록, 인감, 여권 등 국민이 자주 활용하는 각종 민원 처리는 정부24와 무인민원발급기가 정상화되면서 다소 불편하지만 큰 혼란은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다만 부동산거래나 사회보장정보시스템 일부 기능 장애로 온라인 서비스가 중단돼 직접 주민센터를 방문해 수기로 처리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김 차장은 "행안부는 지자체 전담지원반을 구성해 소통채널을 확보하고, 시스템 복구와 대체수단 안내 등으로 적극 대응하겠다"고 약속했다.
중대본은 이날 브리핑 자료를 통해 장애가 발생한 647개 시스템 전체 목록과 정상화 여부, 대체수단도 함께 제공해 기관과 국민 불편을 줄여나갈 방침이다.
[힐링경제=하현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