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시장 [자료사진=연합뉴스]

체감물가를 반영한 실질소득을 세대별로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간 20대 청년층의 실질소득 증가율이 전 세대 중 가장 낮았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되었다. 고용의 질적 저하와 외식비를 중심으로 한 체감물가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29일 발표한 '2014~2024년 세대별 실질소득 추이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20대의 실질소득 증가율은 연평균 1.9%로 전 세대 중 가장 낮았다.

세대별로 살펴보면 40대가 2.1%, 50대가 2.2%, 30대가 3.1%, 60대 이상이 5.2% 순으로 나타나 20대가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특히 60대 이상과 20대 간의 격차는 3.3%포인트에 달해 세대 간 실질소득 증가율의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20대의 실질소득 증가 추세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둔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과거 5년(20142019년) 동안 20대의 실질소득 증가율은 연평균 2.6%였으나, 최근 5년(20192024년)에는 연평균 1.1%에 그쳤다. 이는 1.5%포인트나 감소한 수치로, 청년층의 경제적 여건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한경협은 20대 실질소득 증가율 부진의 첫 번째 원인으로 청년층 고용의 질적 저하를 꼽았다. 최근 10년간 20대의 근로소득 연평균 증가율은 3.6%로 모든 세대 중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표면적으로는 청년층 고용 상황이 개선된 것처럼 보인다. 같은 기간 청년층의 실업률은 9.0%에서 5.8%로 3.2%포인트 하락했고, 고용률도 57.4%에서 61.0%로 3.6%포인트 상승했다.

그러나 고용의 질적 측면에서는 오히려 악화되었다. 근로소득 수준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비정규직 비율이 32.0%에서 43.1%로 11.1%포인트나 증가했다. 이러한 고용 구조의 변화가 청년층 실질소득의 낮은 증가율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20대 실질소득 부진의 두 번째 주요 원인은 외식비 상승에 따른 체감물가 상승이다. 가처분소득과 체감물가를 5년 단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명목소득 증가보다 물가 상승이 더욱 가파르게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의 명목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2014~2019년 연평균 3.8%에서 2019~2024년 연평균 4.0%로 0.2%포인트 소폭 상승하는 데 그쳤다. 반면 20대 체감물가 상승률은 2014~2019년 연평균 1.1%에서 2019~2024년 연평균 2.8%로 급등해 2배 이상 뛰었다.

결과적으로 명목 가처분소득의 상승효과가 체감물가 상승으로 완전히 상쇄되면서 청년층 실질소득 증가율은 오히려 하락하게 되었다.

한경협은 가파른 음식·숙박비 상승을 20대 체감물가 상승의 핵심 요인으로 지목했다. 2019~2024년 기간 중 '음식·숙박' 부문 물가는 식사비를 중심으로 연평균 4.0% 상승했다. 이는 전체 소비지출 항목 중 '식료품·비주류음료'(5.1%)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상승률이다.

청년층의 소비 패턴을 고려할 때, 외식비 상승이 이들의 체감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세대보다 클 수밖에 없는 구조적 특성이 확인된 것이다.

한경협은 청년층 실질소득 개선을 위해 고용의 질을 높이는 노동시장 정책과 함께 체감물가 개선을 위한 외식물가 안정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경협 관계자는 "고용훈련, 양질의 고용 창출 여력 확대 등 질적 제고를 위한 노동시장 정책 다변화가 필요하다"며 구체적인 고용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또한 "할당관세,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등을 통해 식재료비 원가 부담을 줄임으로써 외식물가 안정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밝혀 물가 안정을 위한 구체적 방안도 함께 제안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단순히 청년 실업률이나 고용률 같은 양적 지표만으로는 청년층의 실제 경제적 어려움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을 보여준다. 비정규직 증가와 같은 고용의 질적 저하, 그리고 청년층 소비 패턴에 맞춘 체감물가 분석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결과로 평가된다.

특히 다른 세대와 달리 20대만 실질소득 증가율이 시간이 갈수록 둔화되고 있다는 점은 청년층이 직면한 경제적 어려움이 단기적 현상이 아닌 구조적 문제일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힐링경제=윤현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