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 살펴보는 김민석 총리 [자료사진=연합뉴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한 전산망 마비 사태가 나흘째 지속되고 있어, 구청과 읍면동 주민센터 등 민원 현장에서는 본격적인 '민원 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이번 화재로 총 647개의 정부 전산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이 가운데 96개는 화재로 직접 피해를 받은 시스템이며, 나머지 551개는 전산실 항온·항습기가 중단되자 시스템 보호를 위해 선제적으로 가동을 중단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화재가 발생한 5층 전산실은 완전히 전소되어 복구가 불가능한 상태이며, 국민신문고, 국가법령정보센터, 공무원 내부업무망인 온나라시스템 등 주요 서비스들이 이 구역에 위치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정부는 28일 오전 11시 25분부터 국정자원 대전 본원 내 네트워크와 보안장비 가동을 시작했다. 화재가 발생한 5층을 제외한 2~4층 전산실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가동하고 있으며, 전산시스템 운영에 필수적인 항온·항습기는 28일 새벽 5시 30분에 복구를 완료하여 정상 가동 중이다.
28일 오후 10시 기준으로 복구된 서비스는 모바일신분증, 보건의료빅데이터 시스템,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디브레인), 우체국 금융서비스, 노인맞춤형돌봄·취약노인지원시스템 등 30개에 불과해 전체 복구율은 4.6%에 그치고 있다.
정부는 국민안전과 국민 재산,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을 최우선으로 복구하고 있으며, 시스템 중요도에 따른 등급제를 적용해 우선순위를 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소된 96개 시스템의 경우 국정자원 대구센터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존으로 이전해야 하며, 이로 인해 복구까지 최소 2주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행안부는 발표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전소된 서비스는 철거하고 재설치하는 것보다 대구센터로 옮겨 새로 설치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며 "자원 풀을 구성하는 데 시간이 필요해 완전 복구까지 약 2주 정도 걸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복구 지연으로 인한 현장 혼란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2차 신청·지급이 진행 중인 소비쿠폰의 경우 신청과 사용은 가능하지만, 국민신문고 중단으로 온라인 이의신청이 불가능해 주민센터를 직접 방문해야 하는 상황이다.
전국 화장시설 예약 서비스인 'e하늘장사정보시스템'도 접속이 제한되어 개별 화장장에 온라인이나 유선으로 직접 신청해야 한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 홈페이지 역시 중단되어 개인정보 침해·유출 신고를 이메일로 받고 있는 실정이다.
국민 이용 빈도가 높은 정부24와 무인민원발급기, 조달청 나라장터 등의 서비스도 아직 복구되지 않은 상태다.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안부 장관)은 "국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투명하게 상황을 공유하고, 업무 연속성 유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27일 밤 직접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을 방문해 상황을 점검하며 정부 차원의 신속한 대응 의지를 보였다.
정부는 551개의 선제 중단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재가동하여 정상 작동 여부를 점검할 계획이며, 29일부터 본격적인 민원 업무가 시작되는 만큼 국민 불편 최소화를 위한 대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힐링경제=하현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