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레놀 [자료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전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해열진통제 타이레놀에 대해 강력한 경고를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임신 중 타이레놀 복용이 자폐아 출산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를 근거로 식품의약국(FDA)을 통해 이를 의료진에게 공식 통보하겠다고 밝혔다.

FDA는 이번 발표에 따라 임신부의 타이레놀 복용이 자폐아 출산 확률을 높인다는 내용으로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의 주성분) 제품의 라벨을 변경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FDA는 의학적으로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임신 중 타이레놀 복용을 제한할 것을 강력히 권고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의학적으로 필요한 경우'의 예시로 "참을 수 없을 정도로 극심한 고열"을 제시했다.

이어 "참을 수 없고 견딜 수 없다면 어쩔 수 없이 복용해야 하겠지만, 조금만 복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발표는 기존 의료계의 관행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내용이다.

아세트아미노펜은 그동안 임신부의 통증이나 발열에 대해 의사들이 처방해온 약물이었다.

애드빌로 알려진 이부프로펜 계열이나 나프록센 계열의 진통제는 태아에게 해로울 수 있다는 이유로 권장되지 않아,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여겨진 타이레놀이 임신부들에게 대안으로 제시되어 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2000년 대비 자폐증 유병률이 약 400% 증가했다는 미국 보건당국의 통계를 제시하며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했다. 그는 기자회견에서 "타이레놀을 복용하지 말라. 아기에게도 주지 말라"는 발언을 수십 차례 반복하며 강력한 경고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웃 나라 쿠바의 예를 들어 자신의 주장을 강화했다. 그는 "쿠바에는 그것(타이레놀)이 없다고 한다. 매우 비싸고, 그들은 그것을 살 돈이 없기 때문"이라며 "듣기로는 그들에게는 본질적으로 자폐가 없다고 한다"고 말했다.

이번 타이레놀 경고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공약 중 하나인 'MAHA(Make America Healthy Again, 미국을 다시 건강하게)'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신 회의론자'로 알려진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를 보건복지부 장관에 임명했으며, 백신 접종 제한 조치를 발표하고 이에 반대하는 질병통제예방센터(CDC) 국장을 해임하기도 했다.

또한 다국적 제약회사가 미국인들에게 약을 비싼 값에 판매하고 있다며 이들과의 '전쟁'을 선포한 바 있는데, 타이레놀을 생산하는 존슨앤존슨이 그 표적 중 하나가 되었다.

하지만 타이레놀과 자폐증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뚜렷한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반론이 제기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FDA를 비롯한 각국의 보건당국은 아직 명확한 연관성을 찾지 못했으며, 미국 산부인과학회도 타이레놀이 임신부에게 안전하다고 강조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의학계에서도 상반된 연구 결과가 존재한다.

미국 의학협회 학술지(JAMA)에 2019년 게재된 논문에는 '출생아의 아세트아미노펜 농도와 자폐증이 연관성이 있다'고 기술되어 있는 반면, 2024년 게재된 논문에는 '스웨덴 아동 250만 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아세트아미노펜 복용 여부와 자폐증의 연관성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나와 있다.

자폐증 유병률 증가에 대해서도 진단 기준의 확대, 복지 지원을 받기 위한 서비스 수요 증가, 노산과 조산 등 의학 외적인 요인들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은 지적했다.

의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은 학설에 근거해 타이레놀과 자폐증을 연결짓는 것은 무리라는 기자들의 지적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최소한 먹지 않으면 아무 일도 없다"는 논리로 반박했다.

한편 FDA는 같은 날 마틴 마카리 국장 명의의 공지문을 통해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FDA는 "최근 몇 년간 임신부의 아세트아미노펜 복용과 자녀의 자폐증 및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와 같은 신경학적 질환 발병 위험 증가가 관련 있을 수 있다는 증거가 누적되어 왔다"고 밝혔다.

그러나 FDA는 "명확히 하자면, 아세트아미노펜과 자폐증 사이의 연관성은 다수의 연구에서 기술되었지만, 인과관계는 입증되지 않았으며 과학 문헌에는 반대 연구 결과도 있다"고 인정했다.

FDA는 또한 "이 연관성은 지속되는 과학 논쟁 분야이며, 임신부와 영유아의 대부분 단기 발열은 약물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을 고려할 때 임상의는 임상 결정에서 이를 인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발표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타이레놀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높으며, 의료계와 제약업계에 상당한 파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힐링경제=김재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