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학자 통일교 총재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들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18일 정치자금법 위반 등 혐의로 한학자 통일교 총재와 통일교 전 비서실장 정모 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한 총재의 경우 전날 9시간 반가량 소환조사한 뒤 하루 만에 이뤄진 전격적인 신병 확보 시도다.
박상진 특검보는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오늘 오전 통일교 한학자 총재 및 정모 전 총재 비서실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고 밝혔다.
영장에 적시된 혐의명은 정치자금법 위반과 청탁금지법 위반, 증거인멸교사, 업무상 횡령 등 크게 네 가지다. 한 총재는 전날 조사에서 대체로 혐의를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저간의 상황을 고려했을 때 증거인멸 우려가 크다고 보고 이날 오전 곧바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한 총재가 특검의 거듭된 출석 요구에 불응하다 공범인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이 구속된 후에야 자진 출석하는 등 수사에 협조할 의지가 없다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한 총재가 구속 기로에 놓인 것은 2012년 9월 총재직에 오른 이래 처음 있는 일이다.
한 총재는 통일교 전 세계본부장 윤모 씨와 공모해 2022년 1월 권성동 의원에게 윤석열 정부의 통일교 지원을 요청하며 정치자금 1억원을 전달한 혐의를 받는다. 앞서 권 의원은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지난 16일 구속됐다.
한 총재는 또한 2022년 4~7월 '건진법사' 전성배 씨를 통해 김건희 여사에게 고가 목걸이와 샤넬백을 건네며 교단 현안을 청탁한 데 관여한 혐의도 있다.
먼저 재판에 넘겨진 윤 씨의 공소장에는 통일교 측이 한 총재의 뜻에 따라 국가가 운영돼야 한다는 '정교일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윤 전 대통령 부부에게 접근해 각종 현안을 청탁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윤 씨의 청탁과 금품 전달 행위 뒤에 한 총재의 승인이 있었다는 내용도 적시됐다. 한 총재는 통일교 청탁 의혹의 정점에 있는 최고 의사결정권자다.
반면 통일교 측은 청탁과 금품 제공 행위가 윤 씨 개인의 일탈일 뿐 교단 차원의 개입은 없었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그러나 특검팀의 수사 결과는 이와 배치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검팀은 지난 8일, 11일, 15일 출석을 요구했으나 한 총재 측은 심장 관련 시술 등을 이유로 모두 불출석하며 17일 또는 18일 자진 출석하겠다고 전했다. 이후 특검팀이 체포영장 청구 가능성을 시사하자 전날 임의 출석해 9시간 반가량 조사받았다.
이날 한 총재와 함께 구속영장이 청구된 정모 씨는 통일교 최상위 행정조직인 천무원 부원장이자 한학자 통일교 총재의 비서실장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정 씨는 윤 씨, 한 총재와 공모해 권 의원에게 2022년 1월 5일 1억원을 전달한 혐의를 받는다. 앞서 재판에 넘겨진 윤 씨의 공소장에는 같은 해 10월 권 의원으로부터 한 총재의 원정 도박 관련 수사정보를 들은 윤 씨가 이를 보고하자 한 총재와 정 씨가 압수수색에 대비해 관련 증거를 인멸하라고 지시했다는 내용도 적시됐다.
정 씨는 이와 관련해 지난달 8일과 20일 각각 특검 사무실에 출석해 조사를 받기도 했다.
두 사람은 미체포 피의자여서 서울중앙지법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은 다음 주 초반에 열릴 전망이다.
이번 구속영장 청구는 특검팀이 통일교의 정치권 로비 의혹 수사에서 교단의 최고 책임자까지 법정 구속을 시도하며 수사 강도를 최고조로 끌어올렸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특히 한 총재에 대한 구속 여부는 통일교 관련 전체 사건의 향방을 좌우할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힐링경제=하현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