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 외교부 장관이 17일 중국 베이징에서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과 회담을 갖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 문제와 한반도 정세 등 양국 간 주요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한중 외교장관의 대면 회담은 이번이 처음이다.
회담과 만찬까지 3시간에 걸친 논의에서는 북한 문제가 주요하게 다뤄졌다.
조현 장관은 우리 정부가 대화와 협력을 통해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 실현을 위한 실질적 진전을 추구하고 있다고 밝히고, 북한의 대화 복귀를 위한 중국 측의 노력을 당부했다.
이에 대해 왕이 부장은 중국 측이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건설적 역할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답하면서 지속적인 소통을 제안했다.
조 장관은 만찬 후 특파원 간담회에서 한반도 비핵화 문제에 대해 "중국의 언급은 없었지만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은 변함이 없다는 정도로 이야기를 나눴다"고 설명했다.
이는 이달 초 중국 전승절 계기 북중 정상회담에서 비핵화에 대한 언급이 없어 '북핵 불용'이라는 중국의 입장이 달라진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지만, 변함이 없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조 장관은 또한 한반도 긴장 완화와 비핵화를 위한 이재명 정부의 구상을 설명하고 중국의 역할을 당부했다고 밝혔다.
왕 부장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이달 초 방중에 대해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내용까지는 공유하지 않았다고 조 장관은 전했다.
시진핑 주석의 방한 문제도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양국의 회담 결과 보도자료에 관련 언급이 없는 등 아직 공식화하지는 않았지만, 시 주석의 내달 말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 방한에 대해 조현 장관은 특파원 간담회에서 "확실한 것으로 느꼈다"고 전했다.
왕 부장은 올해와 내년 한중 양국이 연이어 APEC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것을 계기로 한중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 것은 중국에게도 중요한 의미라고 말했다.
조 장관이 APEC 정상회의 전 왕 부장의 방한을 초청하자, 왕 부장은 조만간 한국에서 조 장관을 만날 수 있길 기대한다고 화답했다. 왕 부장은 10월에 방한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조 장관은 한미동맹을 공고하게 발전시켜 나가되 국익과 실용에 기초해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의 성숙한 발전도 추진해 나간다는 것이 우리 정부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왕 부장은 중국이 대한국 우호정책의 안정성과 연속성을 지속 유지해 나갈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더 높은 수준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지속 협력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조 장관은 서해 문제를 포함한 상호 관심사를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장관이 중국의 서해상 구조물 무단 설치에 대해 항의성으로 문제를 제기하자, 중국 측은 "한중 실무 협의가 이미 잘 진행되고 있으니 잘 관리해나가자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왕 부장은 최근 중국 국민 구조 과정에서 순직한 고 이재석 경사의 숭고한 희생에 대해 중국 정부를 대표해 심심한 애도를 표명했다고 외교부가 밝혔다.
이번 회담은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한중 외교장관 대면 회담으로, 양국 관계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시진핑 주석의 방한이 가시화되면서 한중 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힐링경제=홍성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