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리인하 배경 설명하는 파월 연준의장 [자료사진=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7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며 9개월간 이어온 금리 동결 기조를 마감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첫 번째 금리 인하 결정이다.
연준은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무리하며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에서 4.004.25%로 낮춘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0.25%포인트 인하 이후 5회 연속 동결했던 기조를 깨뜨린 것이다.
연준은 지난해 9월 4년 반 만에 금리 인하를 재개한 후 12월까지 계속 인하했으나, 올해 들어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인하 압박에도 불구하고 7월 FOMC까지 연이어 금리를 동결해왔다.
연준은 FOMC 발표문을 통해 금리 인하 배경을 설명했다. "최근 지표들은 경제 활동의 성장이 올해 상반기에 완화됐음을 시사한다"며 "일자리 증가는 둔화했고, 실업률은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또한 "인플레이션은 상승했으며, 다소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면서도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태"이며 "고용에 대한 하방 위험이 증가했다고 판단"해 금리 인하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강력히 요구하고 시장 일각에서 예상했던 '빅 컷'(0.50%포인트 이상 대폭 인하)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번 금리 인하 결정 과정에서 FOMC 위원 간 의견 차이가 드러났다. 트럼프 대통령이 임명해 전날 취임한 스티븐 마이런 신임 연준 이사는 0.50%포인트 인하에 투표했으나, 나머지 FOMC 위원들은 0.25%포인트 인하에 투표했다.
이로써 지난 7월에 이어 FOMC 금리 결정에서 두 차례 연속 만장일치가 나오지 않았다. 당시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1기 때 임명한 위원 2명이 동결 대신 0.25%포인트 인하에 투표했었다.
연준은 올해 말 기준금리 예상치의 중간값을 3.6%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 6월 발표한 3.9%에서 낮춘 것으로, 연내 0.25%포인트씩 두 차례 더 금리 인하가 단행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올해 남은 FOMC 회의는 10월 2829일과 12월 910일 두 차례다.
공개된 점도표에 따르면 전체 연준 위원 19명 중 12명이 올해 안에 금리 인하를 예상했다. 이 중 2명은 한 차례만, 9명은 두 차례(0.50%포인트) 인하를 예상했으며, 1명은 추가로 1.25%포인트 인하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결정으로 한국(2.50%)과 미국 간 금리차는 상단 기준 1.75%포인트로 좁혀졌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여전한 물가 우려를 표명하며 큰 폭 금리 인하에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의 물가 영향에 대해 "상품 가격 상승이 올해 인플레이션 상승의 대부분을 설명하고 있다"며 "현시점에서는 매우 큰 효과는 아니지만 올해 남은 기간과 내년까지 지속해서 누적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고용시장 상황에 대해서도 독특한 현상을 언급했다. "이민자 변화만큼 노동 공급이 감소하고 있다"며 "노동 공급 증가가 거의 없는 가운데 고용 수요도 급격히 줄고 있어 앞서 내가 '이상한 균형'이라고 불렀던 현상을 보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는 지난달 '잭슨홀 회의'에서 이민 제한 정책으로 인한 노동 공급 감소와 경기 둔화에 따른 노동 수요 감소가 맞물려 "이상한 종류의 균형"을 이뤘다고 지적한 것과 맥을 같이 한다.
그러면서도 "경제가 나쁜 것은 아니다"라고 언급해 경기 부양을 위한 대폭적인 금리 인하는 필요하지 않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연준은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실질 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4%에서 1.6%로 상향 조정했다. 반면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 3.0%, 근원 PCE 가격지수 상승률 3.1%, 실업률 4.5%는 6월 발표 전망치를 그대로 유지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해임한 리사 쿡 이사는 15일 항소법원 판결에 따라 당분간 이사직을 유지하게 되어 이번 회의에 참석했다.
[힐링경제=김재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