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자료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9일까지 주요 무역 상대국들과의 협상을 완전히 마무리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내비쳤다. 이는 지난 4월 발표한 상호관세 유예 기한이 종료되는 시점에 맞춰 미국의 무역 정책 방향을 확정짓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뉴저지주에서 워싱턴DC 백악관으로 돌아가기 위해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에 탑승하기 전 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그는 "월요일(7일)에 서한을 발송할 예정이며 12개국이 될 수 있고, 아마도 15개국이 될 수 있다"고 구체적인 일정을 제시했다.

이는 그동안 서한 발송 대상국을 12개국으로 언급해왔던 것보다 3개국이 늘어난 것으로, 미국의 무역 압박 대상 범위가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마 15개국 정도 될 수 있고, 월요일(7일)에 발송될 것이며, 일부는 화요일(8일)과 수요일(9일)에 발송될 것"이라며 단계적 서한 발송 계획을 설명했다.

주목할 점은 트럼프 대통령이 일부 국가들과는 이미 협상이 진전되고 있다고 밝힌 부분이다. 그는 "우리는 (몇몇 국가들과) 합의를 이뤄왔다. 따라서 우리는 서한(발송)과 몇몇 타결의 조합을 갖고 있으며, 일부 국가와는 협상이 타결됐다"고 말했다.

이는 미국이 모든 국가에 대해 일방적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 아니라, 협상을 통해 양국 간 무역 조건을 개선할 수 있는 국가들과는 별도의 합의를 도출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협상에 응하지 않거나 미국이 요구하는 조건을 받아들이지 않는 국가들에게는 관세 서한을 통해 일방적인 무역 압박을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함께 참석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관세 발효 시점을 명확히 했다. 그는 "관세는 8월 1일부터 발효될 것"이라며 "대통령은 지금 당장 관세율과 합의를 설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9일까지 협상을 마무리하더라도 실제 관세 적용은 약 3주 후인 8월 1일부터 시작된다는 뜻이다.

기자가 '7월 9일이나 8월 1일이 되면 관세율이 바뀔 수 있느냐'고 질문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우리가 대부분 국가(와의 협상)를 7월 9일까지 마무리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서한 아니면 합의(a deal)"라고 답했다. 이는 9일까지 각국과의 관계를 완전히 정리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과 러트닉 장관의 발언을 종합하면, 지난 4월 2일 발표한 상호관세의 유예 기한이 마무리되는 9일까지 일부 국가와는 협상을 타결할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협상이 타결되지 않은 국가들에게는 미국이 무역적자나 비관세 장벽 등을 고려해 일방적으로 설정한 관세율을 서한을 통해 통보하는 방식으로 무역협상을 종결하겠다는 전략이다.

다만 관세 발효일을 8월 1일로 정한 것으로 미뤄볼 때, 특정 국가가 미국으로부터 관세율이 명시된 서한을 받더라도 관세 발효 시점까지는 추가 협상을 이어갈 가능성도 남겨둔 것으로 보인다. 이는 관세 통보 이후에도 마지막 협상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유연한 접근법으로 해석할 수 있다.

러트닉 장관은 "대통령은 현재 다양한 국가들과 다양한 협상을 진행 중이며, 내 오른쪽에 있는 신사분(트럼프)이 결정을 내릴 것"이라며 "저는 그 분이 결정을 내릴 때 함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무역 정책의 모든 최종 결정권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있으며, 상무장관은 이를 뒷받침하는 역할을 하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이번 발표는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우선주의 무역 정책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각국에게는 마지막 협상 기회를 제공하는 '당근과 채찍' 전략으로 평가된다. 앞으로 일주일 간 진행될 무역 협상의 결과가 글로벌 무역 질서에 미칠 영향이 주목되고 있다.

[힐링경제=김재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