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넬 미 국방부 대변인 [자료사진=연합뉴스]

미국 국방부는 2일(현지시간), 최근 일부 언론에서 제기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행정부의 주한미군 감축 구상에 대해 즉답을 피하면서도 한미동맹에 대한 변함없는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이날 워싱턴DC 인근 펜타곤(미 국방부 청사)에서 진행된 정례 브리핑에서 션 파넬 국방부 대변인은 ‘미국이 주한미군 감축을 계획하고 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우리는 이 자리에서 군사 태세(Military Posture)에 관한 검토 내용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파넬 대변인은 이어 "미국은 한국과 철통같은(ironclad) 동맹을 맺고 있으며, 그 동맹에 계속 충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구체적인 군 배치 변화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하면서도, 한미 간 안보 협력의 근간인 동맹 관계에는 변함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앞서 미국 유력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5월 22일 보도를 통해, 국방부가 주한미군 약 4,500명을 다른 지역으로 재배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해당 보도는 미 국방부 내부 관계자들을 인용한 것으로, 트럼프 전 대통령이 11월 대선을 통해 재집권할 경우를 염두에 둔 미군 글로벌 재배치 전략의 일환이라는 해석이 뒤따랐다.

이에 대해 미 국방부는 당시 보도 직후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지만, 이후에도 해당 가능성에 대한 논란은 끊이지 않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과거 첫 임기 중에도 방위비 분담금 문제를 두고 한국에 압박을 가하며 주한미군 철수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어, 그의 재집권 여부에 따라 주한미군 규모에 대한 재논의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실제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1기 집권 시기인 2018년부터 2020년 사이, 한국에 대한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강력히 요구했고, 협상이 장기화되자 주한미군 일부 철수 가능성을 암시한 바 있다. 이번 논란은 트럼프의 재집권 가능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다시 부상하며 한미 안보 관계의 미래를 둘러싼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국방부의 이번 입장은 ‘군사적 재조정 가능성’을 일축하지는 않았지만, 한미동맹 자체에 대한 미국의 기본 입장은 변함없음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이 글로벌 안보전략 재편을 추진하면서도, 동북아시아에서의 전략적 억지력 유지를 위해 한국과의 협력은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한편, 한국 정부는 현재로서는 미국으로부터 어떠한 주한미군 감축 계획에 대한 공식 통보도 받은 바 없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관련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며 향후 변화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복귀 가능성이 커지는 가운데, 향후 미국의 동맹정책 및 주한미군 운용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 한미 양국 간 외교·안보 협의가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힐링경제=김재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