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은 6·25 전쟁 75주년을 맞은 6월 25일, “오늘의 대한민국은 결코 저절로 만들어지지 않았다”며 참전용사와 전쟁 세대를 향한 깊은 감사의 뜻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전장을 지킨 국군 장병과 참전용사, 유가족, 그리고 전쟁의 상처를 감내하며 살아온 국민 모두의 희생과 헌신 덕분에 오늘의 대한민국이 가능했다”며 “대한민국은 여러분을 영원히 잊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전쟁은 우리의 삶을 송두리째 흔들었고, 수많은 이들이 가족을 잃고 고향을 떠나야 했으며, 평온했던 삶이 무참히 파괴됐다”고 회고했다. 이어 “그럼에도 우리는 다시 일어나 희망을 품었고, 상처를 딛고 더 나은 내일을 향해 나아갔다”며 전후 재건의 역사와 국민의 끈질긴 생존 의지를 강조했다.
특히 그는 “1953년 종전 당시 1인당 국민소득 67달러에 불과했던 나라가 이제는 국민소득 3만6천달러를 넘나드는 세계 10위권 경제 강국으로 성장했다”며 “OECD 출범 이후 최초로 대표적인 원조 수혜국에서 원조 공여국으로 전환되었고, 세계 개발도상국의 롤모델로 평가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한국의 눈부신 경제성장뿐만 아니라 교육, 보건, 과학기술, 문화 등 전 분야에서의 발전도 언급했다. 그는 “우리는 세계 10위권의 경제력과 세계 5위권의 군사력을 갖춘 나라가 되었고, K-컬처를 통해 세계 문화를 선도하는 국가로 우뚝 섰다”고 자평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은 여전히 남아 있는 역사적 과제도 짚었다.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특별한 희생을 치른 분들께 충분한 보상과 예우를 다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느낀다”며 “앞으로 더 많은 지원이 이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겠다”고 약속했다.
안보와 평화에 대한 철학도 분명히 했다. 이 대통령은 “전쟁을 다시 겪을 일 없는 나라를 만드는 것이 수많은 이들의 희생과 헌신에 올바르게 응답하는 길”이라며 “군사력에만 의존하는 시대는 지났고, 싸워서 이기는 것보다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가장 확실한 안보는 싸울 필요가 없는 상태, 즉 평화를 만드는 것”이라고 거듭 밝혔다.
끝으로 이재명 대통령은 “평화가 곧 경제이며, 국민의 생존과 직결된다”며 “경제가 안정되고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삶을 위해 한반도 평화 체계를 굳건히 구축해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이번 메시지는 전쟁의 상처와 교훈을 되새기고, 평화와 공존의 미래를 향해 나아가겠다는 국가 원수의 의지를 담고 있다.
[힐링경제=홍성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