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니상 거머쥔 박천휴 작가(오른쪽)와 윌 애런슨 작곡가 [자료사진=연합뉴스]
한국 창작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Maybe Happy Ending)이 세계 뮤지컬의 심장부인 미국 브로드웨이에서 찬란한 성과를 일궈냈다.
8일(현지시간) 뉴욕 라디오시티 뮤직홀에서 열린 제78회 토니상 시상식에서 어쩌면 해피엔딩은 뮤지컬 최고 영예인 작품상(Best Musical)을 비롯해 ▲극본상 ▲작사·작곡상 ▲무대디자인상 ▲연출상 ▲남우주연상 등 총 6개 부문을 석권하며 올해 토니상 최다 수상작으로 등극했다.
이로써 어쩌면 해피엔딩은 국내 창작 뮤지컬로는 사상 최초로 브로드웨이 무대에서 토니상을 수상한 작품이 됐다. 단순한 진출을 넘어 최고 권위의 시상식에서 다관왕을 기록했다는 점에서, ‘K-뮤지컬’의 위상을 세계 시장에 각인시키는 이정표가 됐다.
이 작품은 2016년 서울 대학로의 소극장에서 첫 무대에 오른 순수 창작 뮤지컬이다. 약 300석 규모의 무대에서 시작된 이 작품은 관객과 평단의 호평을 바탕으로 해외 진출을 준비했고, 영어판으로 재탄생한 후 지난해 11월 뉴욕 브로드웨이 벨라스코 극장에서 공식 개막했다.
미래 사회를 배경으로 인간을 돕기 위해 설계된 로봇 ‘올리버’와 ‘클레어’가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섬세하고 감성적으로 풀어낸 이 작품은, 인간성과 감정, 그리고 사랑의 본질을 철학적으로 성찰하며 관객의 깊은 공감을 자아냈다.
작품의 원작자 박천휴 작가와 작곡가 윌 애런슨은 한국과 미국의 음악적 요소를 절묘하게 결합해 새로운 형식의 브로드웨이 뮤지컬을 만들어냈다.
박 작가는 작사·작곡상 공동 수상 소감에서 “브로드웨이 커뮤니티가 우리를 따뜻하게 받아들여준 것에 정말 감사하다”며 “이 작품은 한국의 인디팝, 미국의 재즈, 현대 클래식, 그리고 브로드웨이 전통이 어우러진 멜팅팟 같은 작품”이라고 자평했다.
이번 시상식에서 어쩌면 해피엔딩은 총 10개 부문에 후보로 올라,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 죽어야 사는 여자(Death Becomes Her)와 함께 최다 노미네이트 작품으로 꼽혔다.
최종 수상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오케스트레이션(편곡상) ▲의상 디자인 ▲조명 디자인 ▲음향 디자인 등 기술 부문에서도 고르게 후보에 올라 뛰어난 예술적 완성도를 인정받았다.
이번 쾌거는 단순히 한 작품의 성공을 넘어, 한국 뮤지컬 창작 생태계의 저력을 세계에 보여준 사건으로 평가된다.
한국 창작자들이 기획, 극본, 음악, 연출 전반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작품이 브로드웨이에서 전면적인 인정을 받은 것은 극히 드문 일이다.
실제로 지난해에도 한국계 창작자들의 활약이 눈에 띄었다. 뮤지컬 위대한 개츠비의 린다 조는 토니상 의상디자인상, 아웃사이더스의 김하나(미국명 하나 수연 김) 씨는 조명상을 각각 수상하며 브로드웨이에 한인 예술가들의 존재감을 각인시켰다. 또한 위대한 개츠비의 리드 프로듀서로 참여한 오디컴퍼니 신춘수 대표는 한국 제작사 주도의 대형 뮤지컬 진출 가능성을 실현했다.
하지만 이번 어쩌면 해피엔딩의 수상은 더욱 특별하다. 한국에서 완성된 순수 창작 뮤지컬이 해외 리메이크가 아닌 원작 그대로 브로드웨이에서 공연되고 수상까지 이룬 첫 사례이기 때문이다. 이는 한국 뮤지컬이 단순히 기술력이나 흥행성에서 뛰어난 수준을 넘어, 서사와 음악, 철학적 깊이에서도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췄다는 방증이다.
이번 성과는 국내 창작자들에게 더 큰 도전과 영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 작가 역시 “이건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며, 한국 뮤지컬의 글로벌 확장을 향한 의지를 밝혔다.
K-콘텐츠가 드라마, 영화, 음악을 넘어 뮤지컬 무대까지 본격적인 확장을 시작한 가운데, 어쩌면 해피엔딩은 그 새로운 여정의 포문을 열었다. 그리고 그 여정은 단지 ‘가능성’이 아닌, 확실한 실현의 시대에 접어들었음을 증명하고 있다.
[힐링경제=차정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