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제21대 대통령으로서의 임기를 6월 4일 오전 6시 21분부로 공식 시작했다.

이번 대선은 대통령의 궐위에 따른 조기 선거였기 때문에,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당선인 확정 즉시 대통령의 임기가 개시되는 헌법적 절차에 따라, 이 대통령의 국가 통치권 이양도 자동으로 완료됐다.

중앙선관위는 이날 오전 전체 위원회의를 열고 지난 대통령 궐위에 따른 대선 결과를 공식적으로 심의‧의결했다. 이 회의에서 이재명 후보의 당선을 최종 확정함에 따라, 그는 곧바로 대한민국의 새로운 대통령이자 국군통수권자가 됐다. 이에 따라 기존 권한대행이었던 이주호 전 대통령 권한대행 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대통령 권한을 즉시 이양했다.

선관위는 이날 오전 7시경 정부 과천청사에서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에게 당선증을 전달할 예정이다. 이는 대통령 당선자의 임기를 상징적으로 공표하는 절차로, 법적 효력은 당선인 확정 시점부터 발생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대선에서 총 유효투표의 49.42%인 1,728만7,513표를 득표하며 승리를 거뒀다. 보수 야권 단일후보였던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41.15%, 개혁신당의 이준석 후보는 8.34%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당초 예측보다 박빙의 승부가 펼쳐졌지만, 결국 이 대통령은 과반에 가까운 지지를 확보하며 당선을 확정 지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경제 회복’과 ‘국민 통합’을 핵심 기치로 내세워 지지를 끌어냈으며, 선거운동 기간 내내 민생 현장을 직접 찾으며 ‘실용주의적 개혁’을 강조했다. 대통령 당선 후 첫 메시지에서도 “국민 모두가 주인인 나라, 내 삶이 나아지는 나라를 만들겠다”며 포용과 통합의 리더십을 예고했다.

이날 임기 개시와 동시에 국군통수권을 포함한 대통령의 모든 고유 권한은 헌법에 따라 자동으로 이양됐다. 청와대 또는 대통령 집무 공간은 아직 이전 문제가 정리되지 않은 만큼, 초기 대통령 업무는 과도기 체제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조만간 취임 후 첫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경제와 외교 안보 현안 등에 대한 입장을 밝힐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조기 선거로 인해 기존 정권의 국정과제가 단절된 만큼, 빠르게 대통령비서실과 내각 구성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번 대선은 대통령 궐위라는 초유의 사태 속에서 치러졌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특별했다. 정당과 후보 간 치열한 경쟁 끝에 국민은 이재명이라는 선택을 통해 새로운 국정 운영의 방향을 결정했다. 앞으로 이재명 대통령이 이끄는 행정부가 어떤 비전과 정책으로 국가를 이끌지 주목된다.

[힐링경제=홍성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