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연합뉴스]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 토트넘 홋스퍼의 손흥민이 마침내 생애 첫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유럽 무대에 데뷔한 지 15시즌 만이다. 팀의 주장으로서, 한국 축구의 상징으로서, 그리고 오랜 시간 무관의 한을 품어온 선수로서 손흥민은 감격의 순간을 온몸으로 누렸다.

손흥민이 소속된 토트넘은 5월 22일(한국시간) 스페인 빌바오 산 마메스에서 열린 2024-2025 UEFA 유로파리그(UEL) 결승전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결승골은 전반 42분 브레넌 존슨의 발끝에서 나왔다. 파페 사르의 크로스를 문전에서 존슨이 마무리하려던 순간, 공은 뒤따르던 맨유 수비수 루크 쇼의 몸을 맞고 골대 안으로 흘러들어갔다. 비록 자책골로도 보일 수 있는 장면이었지만, UEFA는 공식적으로 존슨의 골로 기록했다.

이날 손흥민은 교체 명단에서 경기를 시작해 후반 22분 히샬리송 대신 그라운드를 밟았다. 발 부상 이후 지난 17일 리그 복귀전에 나섰던 손흥민은 이번 결승전에서도 약 20분간 뛰며 수비에 집중, 팀의 승리를 지켜냈다. 특히 후반 막판 맨유의 공세가 거세지는 가운데, 손흥민은 수차례 압박과 역습 전환에 기여하며 챔피언의 책임을 다했다.

손흥민에게 이번 우승은 단순한 트로피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그는 2010년 독일 분데스리가 함부르크 SV에서 유럽 생활을 시작한 이후 레버쿠젠을 거쳐 2015년 토트넘에 입단했다. 이후 토트넘 유니폼을 입고 2016-2017 EPL 준우승, 2018-2019 UEFA 챔피언스리그(UCL) 준우승, 2020-2021 리그컵 준우승 등 여러 차례 정상 문턱에서 좌절을 맛봤다.

국가대표팀에서도 손흥민은 주요 국제대회에서 우승과 인연이 없었다. 다만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따내 병역혜택을 받은 것이 유일한 트로피였다.

이번 UEL 우승은 토트넘 구단 역사에도 큰 획을 긋는다. 토트넘이 마지막으로 공식 대회에서 우승했던 것은 2007-2008 시즌 리그컵이었다. 유럽 대항전으로 범위를 넓히면 1983-1984시즌 UEFA컵(현 유로파리그) 이후 무려 41년 만의 우승이다.

더욱이 토트넘은 이번 시즌 EPL에서 최악의 성적 중 하나인 17위에 그치며 강등 위기까지 거론되었던 팀이다. 그런 토트넘이 시즌 마지막 무대에서 맨유를 꺾고 유럽 무대 정상에 오르며 극적인 반전을 써냈다. 이에 따라 다음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UCL) 본선 직행 티켓도 확보하게 됐다.

이 우승으로 팀을 지휘한 안지 포스테코글루 감독 역시 자신의 리더십을 입증했다. 부임 2년 차 만에 유럽 대회 정상에 오른 그는 그동안 비판받던 ‘비주류 출신 감독’이라는 꼬리표를 떼고 영웅으로 등극했다.

결승전이 펼쳐진 산 마메스 경기장은 4만9천여 관중이 꽉 들어찬 가운데, EPL 두 빅클럽 간의 극적인 대결로 큰 관심을 끌었다. 경기 초반 맨유는 브루누 페르난데스와 가르나초를 앞세워 공세를 펼쳤지만, 토트넘의 굴리엘모 비카리오 골키퍼와 수비진의 집중력은 끝까지 흔들리지 않았다.

후반 23분에는 맨유의 라스무스 호일룬이 헤딩 슛을 날렸으나 미키 판더펜이 골라인 바로 앞에서 걷어내는 장면도 있었다. 후반 29분 알레한드로 가르나초의 날카로운 슛도 비카리오 골키퍼의 선방에 막히며 기회를 살리지 못했다.

주심이 최종 휘슬을 불었을 때는 후반 45분이 끝난 뒤 추가시간 7분을 넘긴 8분 23초가 지난 시점이었다. 긴장감 넘치던 98분여의 승부가 종료되자, 손흥민은 태극기를 어깨에 두른 채 동료들과 얼싸안으며 감격의 눈물을 쏟았다. 주장으로서 트로피를 가장 먼저 들어 올리는 그의 모습은 수많은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로써 손흥민은 UEFA컵 우승 트로피를 들었던 차범근 전 감독에 이어 유럽 클럽대항전에서 우승을 경험한 또 한 명의 한국인으로 기록됐다. 김동진과 이호 역시 2008년 러시아 제니트 소속으로 UEFA컵(현 유로파리그) 우승을 경험한 바 있으나, 손흥민은 EPL 최고 수준의 팀에서 팀의 주축이자 주장으로 우승컵을 든 첫 사례로, 더욱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손흥민은 “오랜 시간 기다려온 순간이다. 팬들과 팀 동료, 가족에게 이 영광을 바친다”고 말하며 눈물을 감추지 못했다.

이날 토트넘의 우승은 한 선수의 헌신과 인내, 그리고 하나의 팀이 만들어낸 극복의 드라마였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언제나 그렇듯 손흥민이 있었다.

[힐링경제=차정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