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 출마한 이재명 예비후보가 11일, 대한민국의 미래를 "퍼스트 무버 국가"로 선언하며 강력한 비전과 전략을 제시했다.
이 후보는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비전발표회에서 "향후 5년은 국운이 걸린 절체절명의 시기이자 역사적 분수령"이라며 "대한민국은 세계가 주목하는 퍼스트 무버로 거듭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위대한 주권자의 힘으로 무도한 권력을 끌어내렸지만 여전히 과제가 산적해 있다"면서 "국난을 온전히 극복하고 무너진 민생과 평화, 민주주의를 회복해야 하며, 멈춰버린 경제를 다시 살려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위기를 기회로 만들며 없는 길을 스스로 만들어온 제가 국민의 훌륭한 도구가 되어 위기 극복과 재도약의 길을 열겠다"며 'K이니셔티브'라는 새 시대를 선언했다.
이 후보는 특히 "냉혹한 글로벌 전장에서 살아남으려면 '모방'에서 '주도'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고 절박함을 호소했다.
대한민국이 분단과 전쟁의 폐허 위에서 산업화를 달성하고, "한강의 기적"을 이룬 성공 방정식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 시대가 도래했음을 강조했다.
이제는 초과학기술 기반의 신문명 시대로 진입하면서 모방할 대상도, 따라야 할 정답도 사라졌다는 것이다.
그는 "더는 양적 성장에만 매달리는 기능중심 사회가 아닌, 질적 성장을 추구하는 가치중심 사회로 변화해야 한다"며, 스스로 선택하고 판을 주도하는 국가가 되어야 세계 시장에서 앞서 나갈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걸음 뒤처지면 도태되지만 반걸음 앞서면 무한한 기회를 누릴 수 있다"며 선도국가 전략을 거듭 강조했다.
글로벌 정세와 관련해서도 이 후보는 현실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그는 "트럼프 2기 체제의 '자국우선주의 세계대전'이 시작됐다"며, 세계적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불안정한 국제 질서 속에서 이념과 진영 대결이 더는 주요 변수가 아니라고 분석했다.
오히려 "현실에 발을 딛고 이상을 향해 팔을 뻗는 주도적이고 진취적인 실용주의가 미래를 결정할 것"이라며 실용주의적 국가 전략을 강조했다.
이 후보는 대한민국을 '레벨업' 시킬 기회로 이번 대선을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70년의 위대한 성취를 넘어 세계를 주도하는 시대로 도약하겠다"며 "이번 대선을 대한민국 레벨업의 전기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윤석열 정부를 겨냥한 비판도 이어졌다. 이 후보는 "윤석열 정부 3년 만에 민주주의가 최악의 위기를 맞았고, 평화와 안보가 정쟁과 권력 유지 수단으로 전락했다"며 "국민이 그 피해를 오롯이 감당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위기 속에서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다.
그는 "반만년 역사 동안 무능하고 부패한 기득권이 만든 위기를 평범한 민초들이 이겨낸 서사가 있다"며, IMF 위기를 경제개혁의 기회로 만든 사례를 언급했다.
촛불혁명과 K콘텐츠 전성시대를 예로 들며, 이 후보는 "세계사에 남을 아름다운 평화혁명으로 K민주주의는 세계적 모범이 됐다.
문화강국의 꿈을 키워 'K콘텐츠 전성시대'를 열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국민들은 익숙한 옛길을 과감히 버릴 준비가 되어 있다"며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이룬 기적의 나라 대한민국이 약육강식 세계 질서의 격랑을 뚫고 세계의 표준으로 우뚝 설 것"이라고 확신했다.
끝으로 이 후보는 캠프 슬로건 "이제부터 진짜 대한민국", "지금은 이재명"을 소개하며 "위대한 국민과 함께 희망의 새 시대를 열겠다"고 거듭 다짐했다.
[힐링경제=홍성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