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연합뉴스]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와 탄핵 및 조기 대선 등 정치적 불확실성이 겹치면서 부동산 시장 전반이 얼어붙은 가운데, 50억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 시장은 오히려 '활활' 타오르고 있다.
주요 강남권과 용산권역의 초고가 단지들은 아랑곳하지 않고 신고가를 새로 쓰며, 자산가들의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을 넘어 '상징 자산'으로 자리매김하는 양상이다.
1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이달 10일까지 서울에서 50억원 이상에 거래된 아파트는 총 163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 73건 대비 2.2배 증가한 수치다. 심지어 100억원을 넘는 초고가 아파트 거래도 작년 6건에서 올해 8건으로 늘며 시장의 분위기를 대변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토지거래허가구역이 대폭 확대된 지난달 이후에도 꺾이지 않았다.
서울시는 지난 3월 24일부터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의 전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었지만, 고가 아파트 시장은 여전히 견고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강남구 압구정동과 서초구 반포동이 이번 초고가 거래의 핵심 무대로 떠올랐다.
반포동은 올해에만 56건의 거래가 이뤄져 전체의 34%를 차지했고, 압구정동은 44건으로 30% 비중을 기록했다.
그 뒤를 영등포구 여의도동(12건)과 강남구 대치동(11건)이 이었다. 반포동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 13건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거래량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실제로 강남구 압구정동 '한양' 아파트 전용면적 208㎡는 이달 3일 85억원에 매매되며, 직전 거래가(올해 1월)보다 무려 8억원 오른 신고가를 경신했다.
서초구 반포동의 대표 단지인 '아크로리버파크' 154.97㎡ 역시 올해 2월 100억원에 거래되며 신고가 기록을 갈아치웠다.
100억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 시장은 용산구 한남동이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지난달에는 한남동 '한남더힐' 전용면적 243.2㎡가 175억원에 거래돼 올해 최고가 기록을 세웠다.
바로 뒤를 잇는 거래는 같은 달 이뤄진 '나인원한남' 전용 244.3㎡ 매매로, 거래가는 158억원에 달했다.
이외에도 성수동 '아크로서울포레스트' 전용 159.6㎡가 지난 2월 135억원에 거래되면서 직전 거래가였던 110억원보다 25억원이 뛰는 등 강북권에서도 초고가 거래가 이어졌다.
전문가들은 초고가 아파트 시장이 단순히 '똘똘한 한 채'를 찾는 현상을 넘어, 아예 별도의 시장으로 형성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자산가들에게는 이제 주택이 단순한 거주 목적이나 투자 수단을 넘어 상징성이 있는 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특히 뷰가 탁월하거나 희소성이 높은 한강변 신축 아파트를 선호하는 수요층이 여전히 많다.
이들이 기존의 빌딩 투자 수요까지 흡수하면서 초고가 시장은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초고가 아파트 시장은 일반 부동산 시장과는 결이 다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대내외적인 불확실성 속에서도 희소성과 상징성을 겸비한 단지들이 자산가들의 관심을 끌며 연일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는 셈이다.
[힐링경제=윤현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