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 발효가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글로벌 시장이 요동치면서 각국이 다양한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일부 국가는 협상단을 미국으로 파견해 관세 인하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반면, 일부 국가는 강력한 보복 관세로 맞대응에 나서는 등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외신을 종합하면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효를 하루 앞둔 4월 8일(현지시간) 각국의 움직임은 점점 더 숨 가빠지고 있는 상황이다.
유럽연합(EU)은 이중적 접근법을 취하고 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미국과 협상할 준비가 돼있다"며 상호 무관세를 제안했지만, 동시에 "우리도 우리의 이익을 방어하기 위해 대응조치에 나설 준비가 돼있다"며 협상 결렬 시 무역전쟁으로 이어질 보복 가능성을 시사했다.
EU 27개국은 이날 열린 무역장관 회의에서도 협상 우선 원칙에 뜻을 모으면서도 EU의 이익을 보호하는 수단을 마련해 두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가장 강경한 대응에 나선 국가는 중국이다. 중국은 "국제 규칙보다 '미국 우선주의'를 앞세우는 것은 경제적 괴롭힘"이라고 주장하며 미국산 제품에 대한 34% 보복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는 등 강력 대응에 나섰다.
아시아 각국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직접 소통이나 무역 대표단 파견을 통해 협상의 물꼬를 트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 25분간 전화 통화로 관세 문제를 협의했으며, 후속 협상을 위한 팀을 파견하기로 합의했다.
한국은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 4월 8일부터 9일까지 미국을 방문해 대미 협상을 시도할 예정이다.
베트남은 미국에 대한 관세를 0으로 낮추겠다며 유화적인 제스처를 보냈고, 파키스탄도 이달 중 미국에 대표단을 파견해 관세 협상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동남아시아 국가들도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차원의 공동 대응 방안 마련에 나서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미국산 밀과 면화, 석유, 가스 등의 수입을 늘려 대미 무역흑자를 줄이는 방안을 고려 중이며, 필리핀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인하하겠다고 발표했다.
캄보디아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직접 서한을 보내 19개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인하를 약속하기도 했다.
뉴욕타임스(NYT)는 남아프리카의 작은 국가 레소토조차도 캘빈클라인 청바지 등을 포함한 대미 수출품에 대한 관세에 항의하기 위한 대표단을 구성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러한 각국의 대응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과 회담을 요청한 나라들과 즉각 협상이 시작될 것"이라며 협의에 응하겠다는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동시에 무역적자가 사라지지 않으면 관세 유예나 철회는 없다는 입장도 고수하고 있다.
특히 보복 조치에 나선 중국에 대해서는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압박하며 긴장을 고조시켰다.
백악관은 일부 국가가 대미 관세를 낮추겠다고 제안하는 것과 관련해 관세가 전부가 아니라며 의미 없는 조치라고 일축했다.
부가가치세나 정부 보조금과 같은 비관세 장벽에 대한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은 CNBC 인터뷰에서 "중요한 것은 비관세 사기(cheating)"라며 "제로 관세라는 것에 오도돼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전 세계 무역 질서가 요동치는 가운데, 각국의 대응과 미국의 후속 조치가 어떻게 전개될지 국제 경제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관세 폭탄의 실제 영향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면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힐링경제=김재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