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헌재) 탄핵심판이 변론 종결 후 한 달이 지나도록 선고가 미뤄지면서 온 나라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2월 25일 마지막 변론 이후, 헌재 재판관들은 매일 평의를 진행하고 주말에도 자택에서 사건을 검토하고 있지만, 아직 최종 결론에 이르지 못한 상황이다.

이번 탄핵심판의 심리 속도는 과거 대통령 탄핵 사례와 비교했을 때 현저히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심판의 경우 14일,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때는 11일만에 선고가 이뤄졌다. 하지만 현재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은 한 달이 넘도록 선고가 지연되고 있는 것이다.

선고 지연의 원인에 대해 법조계에서는 여러 가지 해석을 내놓고 있다.

가장 유력한 분석은 재판관들 사이에 세부 쟁점에 대한 이견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특히 이번 사건의 특수성도 주목받고 있는데, 헌재가 여러 건의 탄핵심판을 동시에 심리하고 있다는 점이 선고 지연의 한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여야 정치권은 헌재에 신속한 결정을 촉구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선고 시점을 예측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현재로서는 늦어도 4월 18일 전에는 선고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는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과 이미선 재판관의 임기가 종료되기 때문이다.

오는 27일에는 헌재의 정기 선고가 예정되어 있어 추가적인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재판관들이 이 일정까지 준비해야 하는 상황에서 탄핵심판 평의의 급진전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분석된다.

결과적으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는 4월 초로 넘어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정국의 중대한 분수령이 될 이번 탄핵심판의 선고를 둘러싼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으며, 헌재의 최종 결정에 온 국민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힐링경제=홍성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