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연합뉴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발 세계 관세전쟁이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게 되면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올해와 내년 모두 1.4%까지 하락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다만 국내 주가와 장기금리는 트럼프 대통령 1기 정부 때보다 2기 정부에서 추가 하락 압력이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은행은 "미국의 관세정책이 지난해 11월 전망 당시 예상보다 조기에 높은 강도로 시행됐다"며 "글로벌 및 국내 실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한은은 미래 관세정책에 대한 시나리오를 새롭게 설정하고 그 영향을 재평가했다.

한은이 제시한 '기본 시나리오'는 미국이 중국에 현 수준의 관세를 유지하고 다른 주요 무역 적자국에는 그보다 낮은 관세를 올해 중 부과하되, 협상 진전에 따라 2026년부터 점진적으로 관세가 인하되는 경우를 가정했다.

이 시나리오에서 한국의 올해와 내년 성장률은 미국 관세정책의 영향으로 작년 11월 전망치보다 각각 0.1%p, 0.2%p 낮아져 1.5%, 1.8%로 예상됐다.

관세전쟁이 심화되는 '비관적 시나리오'에서는 한국 경제성장률이 기본 시나리오보다 올해 0.1%p, 내년 0.4%p 추가 하락하여 두 해 모두 1.4%까지 낮아질 수 있다고 분석됐다.

비관적 시나리오는 미국이 올해 말까지 중국을 포함한 주요 무역 적자국에 높은 관세를 부과한 뒤 2026년까지 유지하고, 다른 국가들이 미국에 강력한 보복관세로 맞대응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한은은 "대미국 수출 감소, 교역 둔화에 따른 여타국 수출 감소, 통상환경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 등으로 국내 성장과 물가에 하방 압력이 커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반면 '낙관적 시나리오'에서는 미국이 중국에 현 수준의 관세를 유지하고, 다른 무역 적자국에는 중국보다 상당히 낮은 관세를 부과하다가 2026년부터 모든 국가에 대해 점진적으로 관세를 낮추는 경우를 가정했다.

이 시나리오에서는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기본 시나리오보다 올해 0.1%p, 내년 0.3%p 높아져 2025년 1.6%, 2026년 2.1%까지 성장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은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정책이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이미 작년 하반기부터 미국의 관세정책이 국내 기업에 미칠 부정적 영향과 이에 따른 금리인하 기대가 미리 반영돼 주가와 금리 모두 상당폭 하락한 상태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1기(2018~2019년) 당시 국내 주가는 2017년에 국내 경기회복 기대 등으로 22%나 상승했다가 2018년 7월 이후 미·중 무역 갈등 심화로 2019년 8월까지 약 14% 하락했다.

장기금리도 2018년 초까지 상승세를 보이다가 3월 이후 경기 둔화 우려로 하락세를 이어갔다.

그러나 트럼프 2기에서는 상황이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한은은 "주가의 경우 보호무역 강화, 주력산업 경쟁력 약화 우려, 정치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이미 크게 하락해 밸류에이션이 장기 평균을 상당폭 밑돌고 있다"며 "조선·방위산업 등 미국 신정부 정책 수혜 업종의 실적 개선 기대가 큰 점도 주가의 추가 하락을 제한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기금리 역시 "장기 시장금리가 기준금리 인하 기대를 상당 부분 선반영하고 있고, 올해 상반기 중 국고채 공급물량 확대가 예상되는 등 수급 요인도 금리 하락 압력을 일부 상쇄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다만 한국은행은 "미국 관세정책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매우 크고 이에 대한 시장 참가자들의 경계심도 큰 만큼 향후 미국의 관세정책 추진 과정에서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힐링경제=윤현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