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 개최된 쿼드(Quad) 외교장관회의에서 그동안 관례적으로 포함되어 왔던 '한반도 비핵화' 표현이 처음으로 제외된 것으로 확인됐다.
마코 루비오 신임 미국 국무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워싱턴 DC에서 진행된 이번 회의는 기존과 달리 북한 관련 언급을 전혀 담지 않은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이번 공동성명은 두 문장으로 구성된 간략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중국이나 북한 등 특정 국가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을 피했다.
다만 "무력이나 강압에 의해 현상을 변경하려는 일방적 행동 반대"와 같은 중국을 간접적으로 겨냥한 표현은 유지됐다.
이는 바이든 행정부 시기의 쿼드 회의 결과물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2023년 3월 뉴델리, 5월 히로시마, 7월 도쿄, 9월 윌밍턴에서 열린 쿼드 관련 회의들에서는 예외 없이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협력 의지가 명시됐다.
특히 작년 7월 외교장관회의에서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고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른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공약을 재확인하는 내용이 포함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변화를 즉각적인 미국의 대북정책 전환으로 해석하기는 이르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루비오 장관은 최근 인사청문회에서 대북정책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 지명자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언급한 것과 맞물려, 이번 공동성명에서 한반도 비핵화 표현이 제외된 것은 주목할 만한 변화로 평가되고 있다.
외교가에서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북정책 방향성을 가늠하기 위해서는 향후 대북정책 담당자 인선 과정과 함께 '한반도 비핵화' 원칙의 유지 여부를 주시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트럼프 1기 행정부 때와 비교해 미국의 대북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힐링경제=김재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