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최근 폐업사업자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폐업한 사업자 수가 98만 6천 명으로 2006년 통계 집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폐업률 또한 9.0%로 2016년 이후 7년 만에 상승세로 돌아서며 심각성을 더했다.

연도별 폐업사업자 및 폐업률 추이 [자료사진=연합뉴스]

업종별로는 소매업, 기타 서비스업, 음식업 순으로 폐업자가 많았다. 특히 음식업과 소매업의 폐업률은 각각 16.2%, 15.9%로 나타나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총은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 치열한 경쟁,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비용 부담 증가 등을 지적했다. 실제로 음식업의 경우 최저임금 미만율이 37.3%에 달해 비용 부담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별로는 간이사업자의 폐업률이 일반사업자나 법인사업자보다 훨씬 높았다.

2020년 대비 2023년 간이사업자의 폐업률 증가율은 36.4%로, 일반사업자(1.9%)나 법인사업자(12.0%)보다 훨씬 높았다. 이는 영세 사업자들이 경기 변동에 더욱 취약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폐업 이유는 ‘사업 부진’이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폐업한 사업자 중 절반 가까이가 사업 부진을 폐업 이유로 꼽았다. 이는 내수 부진과 경기 침체가 소상공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연령별로는 30대 이하 젊은 사업자들의 폐업률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30세 미만 사업자의 폐업률은 19.8%로 다른 연령층보다 높았다. 이는 젊은 사업자들이 경험 부족과 자금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준다.

경총은 내수 부진과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인해 영세기업과 소상공인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분석하고, 내년 경기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내수 활성화와 영세 소상공인 지원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우리 경제의 어려움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특히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경제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문제이다.

정부는 소상공인 지원 정책을 강화하고, 경기 부양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 또한, 소상공인들은 경영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고, 경영 컨설팅 등을 통해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힐링경제=윤현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