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연합뉴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지난달 28일 기준금리를 3.25%에서 3.00%로 인하하기로 결정한 배경에 복잡한 내부 논의가 있었던 것으로 17일 공개된 의사록을 통해 드러났다.

인하를 지지한 위원들은 경기 하강 위험과 물가 안정을 주요 근거로 제시했다. 한 위원은 "표면적 경제지표와 달리 경제주체들의 체감 경기가 매우 취약하다"며 "대내외 경제 상황을 고려할 때 적극적인 통화정책 대응이 필요한 시점"임을 강조했다.

다른 위원들도 비슷한 맥락의 의견을 냈다. 물가 전망 경로, 주택가격 안정, 가계부채 증가 둔화 등을 근거로 금리 인하의 타당성을 주장했다. 특히 "내년 경제 성장률이 당초 예상보다 낮아질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었다.

그러나 금리 동결을 주장한 일부 위원들은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한 위원은 "높아진 환율이 물가에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을 우려했다. 또 다른 위원은 "대외 부문의 불확실성이 매우 큰 상황에서 금리 인하가 내수 회복으로 이어질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결과적으로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 인하에 찬성하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했지만, 내부적으로는 상당한 이견이 존재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환율 변동성, 내수 회복 등 복합적인 요인들이 금리 결정에 고려된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의사록 공개는 한국은행의 정책 결정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고, 경제 전문가들과 시장 참가자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경제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글로벌 경제 상황, 국내 경제 지표, 물가 동향 등을 면밀히 관찰하며 한국은행의 향후 통화정책 방향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힐링경제=윤현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