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의 주택 거래가 부진해지면서 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눈에 띄게 감소하고 있다. 특히 은행권의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나타난 '풍선 효과'로 인해 2금융권의 가계대출이 더욱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11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141조 4,000억 원으로 한 달 전보다 1조 9,000억 원 증가했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올해 3월 처음으로 1년 만에 감소한 후 4월에 반등했으며, 이후 8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대출 증가 폭은 8월의 9조 2,000억 원을 정점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11월의 증가액(1조 9,000억 원)은 지난 3월 감소 이후 최소 기록을 나타냈다. 대출 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이 1조 5,000억 원,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이 4,000억 원 증가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의 자료에 따르면, 은행권과 제2금융권을 포함한 전체 금융권의 가계대출은 지난달 5조 1,000억 원 늘어 10월(6조 5,000억 원)보다 증가 폭이 1조 4,000억 원 축소되었다. 특히 2금융권의 가계대출은 3조 2,000억 원 급증하며 은행권을 앞질렀으며, 이는 2021년 7월 이후 3년 4개월 만의 최대 기록이다.
한국은행 박민철 시장총괄팀 차장은 이러한 현상에 대해 "7월 아파트 거래가 고점이었는데, 현재는 그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비은행권 대출 확대는 이미 체결된 주택거래 관련 대출이나 신규 입주 주택 관련 잔금대출 위주로 이뤄져 실수요 자금 측면에서 불가피한 부분이 있다"며 "수도권 중심의 주택매매 거래 둔화와 은행권의 가계대출 관리 등의 영향으로 당분간 전반적 둔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업 대출 역시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예금은행의 기업 대출은 11월 한 달 동안 2조 2,000억 원 증가했으나, 10월(8조 1,000억 원)에 비해 증가 폭이 4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박 차장은 "대외 불확실성으로 대기업 자금 수요가 줄고 회사채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이 이뤄진 데다, 은행의 중소기업 대상 대출 영업 축소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반면, 수신(예금) 부문에서는 예금은행의 예금이 18조 9,000억 원 증가했다. 정기예금의 만기도래 예금 유치 노력과 지방자치단체의 일시 예치 등으로 법인자금과 수시입출식예금이 각각 증가했다.
자산운용사의 수신 역시 8조 7,000억 원 늘었으며, 단기 금리 하락에 따른 수익률 메리트로 머니마켓펀드(MMF)와 채권형 펀드 등으로 자금이 유입되었다.
[힐링경제=윤현철 기자]
저작권자 ⓒ 힐링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