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부총리와 이창용 총재 [자료사진=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당초 전망치인 2.4%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실제 성장률이 2.2~2.3%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러한 전망 수정의 주요 배경에는 3분기 경제성장률이 한은의 예상치를 크게 밑돈 것이 있다.

한은은 3분기 성장률을 전분기 대비 0.5%로 전망했으나, 실제로는 0.1%에 그쳤다.

특히 수출 부문의 부진이 성장률 하락의 핵심 요인으로 지목되었다.

이 총재는 수출이 금액 기준으로는 양호했으나, 수량 기준으로는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그 원인으로는 자동차 업계의 파업과 같은 일시적 요인과 함께, 화학제품과 반도체 분야에서 중국과의 경쟁 심화를 들었다.

한편, 여야 의원들이 실제 성장률과 전망치 간의 오차 문제를 지적하자, 이 총재는 전망 체계의 개선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다른 주요국들의 경우와 비교하면 한국의 전망 실적이 크게 나쁘지 않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미국의 경우 올해 초 1.5%였던 성장률 전망치가 2.8%로, 일본은 1%에서 0.3%로 크게 변동했다고 언급했다.

다음 달 28일로 예정된 기준금리 결정과 관련해서는, 미국 대선과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결정 등 대외 변수들을 주시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향후 달러 가치의 변동, 수출 전망, 그리고 거시안전성 정책이 부동산과 가계부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겠다고 덧붙였다.

[힐링경제=윤현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