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저출생 위기 극복을 위한 대대적인 지원책을 발표했다.
29일 발표된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 시즌2'는 향후 3년간 6조7천억원을 투입해 주거부터 결혼, 육아까지 전방위적 지원을 제공하는 종합 대책이다.
최근 서울시의 출생 지표에서 희망적인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4월부터 8월까지 서울의 출생아 수는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했으며, 혼인 건수는 23.5% 늘었다. 특히 서울의 출생아 수가 5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인 것은 12년 만의 의미 있는 성과다.
시는 이런 반등 흐름을 살리고자 2개 분야(탄생응원, 육아응원) 52개 사업을 3개 분야(돌봄·주거, 양육친화·일생활균형, 만남·출산) 87개 사업으로 확대 추진한다.
우선 신혼부부·양육자를 위한 '서울형 저출생 주거대책'을 추진한다.
안정적 주거가 출산을 결심하는 데 긍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시는 무주택 세대원으로 구성된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장기전세주택Ⅱ '미리 내 집'을 올해 1천호 공급하고, 2026년부터 연 4천호씩 공급한다.
내년 1월부터 아이가 태어난 무주택가구에 월 30만원씩 2년간 총 720만원의 주거비를 지원한다.
주거비 때문에 서울을 떠나거나 아이 낳기를 포기하는 일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내년엔 1천380가구를 지원하고, 2026년에는 4천140가구로 지원을 확대한다.
시는 일·가정 양립 제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중소기업 워라밸 포인트제'도 추진 중이다.
중소기업이 직원들을 위해 자체적으로 출산·양육 장려와 일·생활 균형을 위한 제도를 시행하는 경우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다.
또 다른 사각지대인 소상공인을 위해 육아휴직자 대체인력 지원, 민간 아이돌봄 서비스 연계, 휴업손실 지원으로 구성된 '3종 세트'도 이달부터 시행 중이다.
내년부터 1인 자영업자 및 프리랜서 등도 본인 또는 배우자 출산 시 출산휴가를 갈 수 있도록 전국 최초로 출산·휴가 급여 지원에 나선다.
1인 자영업자 및 프리랜서 등 임산부 본인에게는 90만원의 출산급여를, 임산부 배우자를 둔 1인 자영업자와 프리랜서 등에는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80만원을 지원한다.
양육자와 예비양육자의 삶을 바꾸는 '일상혁명' 정책도 추진한다.
우선 신혼부부를 위해 이른바 '스드메'(사진 촬영 스튜디오, 웨딩드레스 예약, 신부 메이크업) 등 결혼 준비와 혼인 살림 장만에 쓸 수 있도록 내년부터 최대 100만 원을 지원한다.
내년 1월 1일 이후 혼인신고를 한 1년 내 신혼부부(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가 대상이며 내년에 2만 가구 이상을 지원할 예정이다.
필수 육아용품을 최대 반값에 구매할 수 있는 '탄생응원몰'도 내년 3월 오픈 예정이다.
서울형 키즈카페는 동마다 1곳씩 2026년까지 400곳을 조성한다.
영유아·초등학생 자녀의 돌봄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1시간 단위로 맡길 수 있는 '서울형 시간제 전문 어린이집'과 등교 전 아침 시간대 초등학생을 돌봐주고 등교까지 시켜주는 '서울형 아침돌봄 키움센터'를 각각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한다.
아울러 서울연구원을 통해 '양육행복지원정책 성과평가'를 매년 실시하고 평가 결과를 반영해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를 업그레이드해나갈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시즌 2를 통해 아이 낳을 결심은 더 쉽게, 아이 키우는 부담은 더 가볍게 저출생 대책을 업그레이드하고자 한다"며 "저출생 문제는 한두 가지 대책만으로 반전을 이루기 어려운 만큼 서울시는 앞으로도 저출생 해결을 위한 퍼스트무버로서 다양한 정책을 균형감 있게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힐링경제=하현수 기자]
저작권자 ⓒ 힐링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