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의왕청사 [자료사진=연합뉴스]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국민들의 만족도가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발표한 '2024년 민주화운동 인식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한국의 민주주의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31.8%에 그쳤다.

이번 조사는 지난 6월 전국의 만 18세 이상 국민 1,2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 '보통이다'라는 응답이 46.0%로 가장 많았고, '불만족한다'는 응답도 22.2%를 차지했다.

현재 민주주의 수준이 민주적이라고 평가한 비율은 32.7%로, 과거 민주주의가 민주적이었다고 평가한 비율(33.3%)보다도 낮았다. 다만 향후 민주주의 수준에 대해서는 37.4%가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반면 민주화운동의 사회 발전 기여도에 대해서는 높은 평가가 이어졌다.

응답자의 80.3%가 민주화운동이 한국 사회 발전에 기여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답했으며, 자랑스럽지 않다는 응답은 3.6%에 불과했다.

민주화운동 인식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100점 만점에 73.7점을 기록했다.

이는 민주화운동 관련 역사인식(78.0점), 민주화운동 평가(85.7점), 민주화운동 정신계승 및 참여의식(80.5점)의 평균값이다.

주요 민주화운동 중에서는 '5·18 민주화운동'이 76.5점으로 가장 높은 인지도를 보였다.

이어 '6·10 민주항쟁'(66.7점), '4·19혁명'(65.8점), '부마항쟁'(56.0점) 순으로 나타났다.

각 운동의 기여도 평가에서도 비슷한 순위를 보여, 5·18 민주화운동(77.1점)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고, 6·10 민주항쟁(76.9점), 4·19혁명(74.7점), 부마항쟁(70.6점)이 뒤를 이었다.

현재 한국 사회의 갈등 양상에 대해서는 '여당·야당 갈등'이 85.3점으로 가장 심각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어서 '진보·보수 갈등'(83.9점), '영남·호남 지역 갈등'(72.1점), '노사 갈등'(71.9점), '계층 갈등'(70.6점), '세대 갈등'(69.3점) 순으로 나타나, 정치적 갈등이 사회경제적 갈등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인식됐다.

이재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은 이번 조사 결과와 관련해 "향후 민주화운동기념관을 통해 참 민주주의를 실천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데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 결과는 한국 사회가 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의의는 높이 평가하면서도, 현재의 민주주의 실현 수준에 대해서는 비교적 엄격한 평가를 내리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정치권의 극심한 대립이 민주주의 발전의 걸림돌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힐링경제=하현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