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임금근로자 사상 최대, 남녀 임금 격차는 OECD 1위

힐링경제 승인 2024.04.09 09:26 의견 0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여성 임금근로자는 전년 대비 28만 2천 명 증가한 997만 6천 명으로 1963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았다. 이는 60년 전인 1963년의 17.4배에 달하는 수치다.

지난해 전체 임금근로자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도 45.7%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여성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685만 3천 명으로 68.7%를 차지했고, 임시근로자(280만 3천 명)는 28.1%, 일용근로자(32만 명)는 3.2%였다. 특히 임시근로자의 경우 여성 비중이 60.7%로 남성보다 많았다.

지난해 여성 임금근로자를 포함한 전체 여성 취업자는 1천 246만 4천 명으로 역시 사상 최대를 기록했으며, 비중도 43.9%로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

반면 남성 취업자와 임금근로자는 각각 1천 595만 2천 명, 1천 185만 2천 명으로 수치 자체는 역대 최대이고, 여성과 반대로 비중은 감소했다.

이처럼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가 확대되고 있지만, 남녀 임금 격차는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다.

OECD 회원국별 성별 임금격차 2022년 [자료사진=연합뉴스]

통계청이 지난달 발간한 '한국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 이행보고서 2024'에 따르면, 한국의 성별 임금 격차는 2022년 기준 31.2%로 OECD 35개 회원국 중 1위를 기록했다.

이는 OECD 평균(12.1%)의 2.6배 수준이며, 30% 이상 격차를 보이는 국가는 한국이 유일했다.

이러한 심각한 임금 격차에 대한 남녀 시각은 여전히 괴리가 크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미래 사회 대응을 위한 양성평등 추진 전략 사업(2023∼2025)'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8월 만 19~59세 임금근로자 1천 50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성별 임금 격차 발생 원인에 대해 남성은 '출산·육아로 인한 경력 단절'을 가장 많이 꼽았다.

반면 여성은 '기업 내 채용·승진·배치 등에서 성차별이 누적돼 왔다'는 의견을 가장 많이 제시했다.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가 확대되고 있지만, 남녀 임금 격차는 여전히 심각한 사회 문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업 내 성차별 철폐, 여성의 경력 단절 방지, 저임금 여성 일자리 개선 등 다각적인 정책 노력과 사회적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힐링경제=윤현철 기자]

저작권자 ⓒ 힐링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