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까지 태어난 아기 19만명 넘어 [자료사진=연합뉴스]

올해 3분기까지 태어난 아기 수가 19만명을 넘어서며 작년 대비 증가 폭이 18년 만에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출생의 선행지표인 혼인 건수도 18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가며 출산 회복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

26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9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9월 출생아 수는 2만2천369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1천780명 증가해 8.6%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출생아 수는 작년 7월부터 15개월째 증가 추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9월 출생아 규모는 2020년 9월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3분기 출생아 수는 6만5천39명으로 작년 동기보다 3천767명 늘어 6.1% 증가했다.

1월부터 9월까지 누적 출생아 수는 19만1천4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1만2천488명 증가한 것으로, 2007년 이후 동기 기준 18년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인 것이다.

작년 하반기부터 이어진 출생아 증가세와 혼인 건수 등을 고려할 때, 올해 연간 출생아 수가 지난해의 23만8천317명을 넘어설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9월 합계출산율은 0.85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0.06명 증가했으며, 3분기 합계출산율은 0.81명으로 0.04명 늘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의미한다.

출산 증가세는 30대가 주도하고 있다. 3분기 모의 연령별 출산율을 보면, 25세에서 29세는 작년 동기보다 0.1명 감소했지만, 30세에서 34세는 2.4명, 35세에서 39세는 5.3명 각각 증가했다.

출산의 선행지표 격인 혼인 건수도 작년 4월부터 18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9월 혼인 건수는 1만8천462건으로 작년 동월보다 3천95건 증가해 20.1%의 증가율을 보였다.

증가 폭과 증가율 모두 9월 기준 역대 1위를 기록했다.

다만 국가데이터처 박현정 인구동향과장은 "작년 9월에는 추석이 있었고 올해 추석은 10월이다 보니 신고 일수에 영향을 받는 혼인이나 이혼은 신고 일수가 늘어서 증가한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3분기 혼인 건수는 5만8천305건으로 작년 동기보다 6천600건 늘어 12.8% 증가했다.

연령별 혼인율은 남녀 모두 30대 초반에서 가장 많이 증가했다.

1월부터 9월까지 누적 혼인 건수는 17만6천178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만4천417건 증가해 8.9%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3분기 이혼 건수는 2만2천981건으로 작년 동기보다 104건 감소해 0.5% 줄었다.

3분기 사망자 수는 8만5천51명으로 집계됐으며, 작년 동기보다 4천479명 감소해 5.0%의 감소율을 보였다.

출생아가 증가하고 있지만 사망자 규모가 여전히 더 크기 때문에 인구는 계속 감소하고 있다.

3분기 자연증가는 마이너스 2만11명으로 자연 감소를 기록했으며, 인구는 24분기 연속 줄어들고 있다.

다만 1분기 마이너스 3만5천874명, 2분기 마이너스 2만3천586명과 비교하면 자연 감소 폭은 점차 축소되고 있다.

[힐링경제=하현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