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 [자료사진=연합뉴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미국 경기 침체 가능성을 일축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효과로 내년 이후 경제 상황이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베선트 장관은 23일(현지시간) NBC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미국 경제가 일부 부문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도 전체 경기 침체 가능성을 부인했다.
베선트 장관은 미국 경제가 침체 상태에 있다는 일부 주장에 대해 “주택 부문은 고전해 왔고 금리에 민감한 산업은 침체에 가깝다”고 인정했다. 하지만 경제 전체가 침체 위험에 직면했는지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 나는 2026년을 매우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답했다.
베선트 장관은 지난 7월 통과된 이른바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Big and Beautiful Act)’에 포함된 세금 면제와 자동차 대출 이자 소득공제 등 각종 조세정책이 내년 경제 회복의 주요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해당 법안에 따라 2026년 1분기에 미국 노동자 가정에 상당한 규모의 세금 환급이 이뤄지면서 실질 소득이 급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베선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체결한 여러 무역 합의가 미국 내 고용 증가로 이어졌다고 평가하며, 이를 기반으로 2026년에는 인플레이션을 초래하지 않는 경제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일부 농산물에 대한 관세를 면제한 것과 관련해 관세 정책의 물가 상승 효과를 인정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에는 “수입 물가 기준으로는 인플레이션에 변화가 없다”고 반박했다.
그는 “현재 물가 상승은 서비스 부문 때문이며 관세와는 무관하다”며, 농산물 관세 면제는 지난 6∼8개월간 진행된 중남미 국가들과의 무역 협상의 일부라고 설명했다.
베선트 장관은 올해 발생한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국내총생산(GDP)의 약 1.5% 규모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고 평가하면서 셧다운 장기화의 책임을 민주당에 돌렸다.
또한 워싱턴포스트(WP) 기고에서는 상원의 필리버스터 제도 폐지를 주장했다. 현재 공화당은 상원 53석으로 다수당이지만, 필리버스터를 막기 위한 60석에는 미달해 셧다운을 방지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필리버스터는 무제한 토론을 통해 법안 처리를 지연시키는 제도로, 현행 상원 규칙상 이를 무력화하려면 60표가 필요하다.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트럼프 대통령의 평화 구상과 관련해 베선트 장관은 자신이 직접 대통령과 해당 사안을 논의한 바는 없다고 했다. 그럼에도 “평화 절차가 진전되고 있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조만간 건강보험료 인하에 관한 정부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전하며 추가 정책 발표를 예고했다.
[힐링경제=김재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