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연합뉴스]
국민연금 기금이 사상 처음으로 총자산의 절반 이상을 주식에 투자하며, 안정성 중심의 보수적 운용 방식에서 수익성을 추구하는 공격적 투자 전략으로 전면 전환했다.
3일 공개된 올해 6월 말 기준 국민연금 기금운용 현황 자료에 따르면, 총 1,269조1,355억원에 달하는 적립금 중 주식에 투자된 금액은 635조5,734억원으로 전체 자산의 50.1%를 차지했다. 이는 국민연금 기금 역사상 처음으로 주식 비중이 50%를 넘어선 것이다.
이번 변화는 지난 10년간의 추세를 보면 더욱 극적이다. 2015년 말 국민연금의 자산 구성은 채권이 56.6%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주식은 32.2%에 불과했다. 그러나 10년 만에 상황은 정반대로 바뀌었다.
2025년 6월 현재 채권 비중은 33.0%까지 낮아졌고, 그 자리를 주식이 대체했다. 이는 국민연금이 상대적으로 안전한 채권 투자 비중을 줄이고, 위험도는 높지만 수익률도 높은 주식 투자를 대폭 확대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과감한 전략 전환의 가장 큰 이유는 기금 고갈 우려에 따른 수익률 제고 필요성이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연금 수령자는 증가하는 반면 보험료를 납부하는 가입자는 감소하면서, 국민연금 기금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금 운용 수익률을 단 1%포인트만 높여도 기금 고갈 시점을 수년 이상 늦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안정적인 운용만으로는 국민의 노후를 보장하기 어렵다는 판단하에,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더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적 결단을 내린 것이다.
특히 주목할 점은 주식 투자의 중심이 국내가 아닌 해외로 이동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전체 주식 비중 50.1% 중 국내 주식은 14.9%(189조원)에 그치는 반면, 해외 주식은 35.2%(446조원)로 두 배 이상을 차지한다.
이러한 해외 투자 비중 확대에는 두 가지 전략적 의도가 담겨 있다. 첫째는 위험 분산이다. 1,200조원이 넘는 거대 기금을 한국 시장에만 집중하는 것은 과도한 위험 집중을 의미한다. 해외 시장으로 투자를 다변화함으로써 한국 경제의 변동성에 따른 위험을 줄이겠다는 것이다.
둘째는 국내 시장에 대한 과도한 영향력 완화다. 국민연금은 국내 주식시장에서 최대 기관투자자로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해왔다. 국민연금의 매매 동향에 따라 시장 전체가 영향을 받을 정도였다. 해외 투자 비중 확대는 이러한 시장 왜곡을 완화하는 동시에,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수익 기회를 발굴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1,200조원이 넘는 국민연금의 투자 전략 변화는 이제 국제 금융시장의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세계 3위 규모의 연기금인 국민연금의 투자 방향 전환은 뉴욕과 런던 등 주요 증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민연금의 이번 주식 투자 50% 돌파는 단순한 수치 변화를 넘어, 국민의 노후 보장과 한국 경제, 나아가 글로벌 금융시장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힐링경제=윤현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