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란특검 출석하는 추경호 [자료사진=연합뉴스]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및 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를 소환해 조사에 착수했다.
특검팀은 30일 오전 10시부터 추 전 원내대표를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를 진행했다.
이날 오전 9시 54분께 서울고등검찰청 청사에 도착한 추 전 원내대표는 취재진에게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그는 "계엄 당일 총리와 대통령과 통화 후 의원총회 장소를 당사에서 국회로 바꾸고 의원들과 함께 국회로 이동했다"며 "만약 대통령과 공모해 표결을 방해하려 했다면 계속 당사에서 머물지 왜 국회로 의총 장소를 바꾸고 국회로 이동했겠느냐"고 반박했다.
이어 "무도한 정치 탄압에 굴하지 않고 당당히 맞서겠다"고 말한 뒤 취재진의 추가 질문에 답하지 않고 특검팀 사무실로 향했다.
추 전 원내대표는 지난해 비상계엄 선포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의 요청을 받고 의원총회 장소를 여러 차례 변경하는 방식으로 다른 의원들의 계엄 해제 표결 참여를 방해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그는 계엄 선포 이후 비상 의원총회를 소집하면서 장소를 국회에서 당사로, 다시 국회로, 또다시 당사로 세 차례 변경했다.
이러한 장소 변경으로 인해 다수의 국민의힘 의원이 당시 계엄 해제 의결에 참석하지 못했다.
국회의 해제 요구 결의안은 국민의힘 의원 108명 중 90명이 참여하지 않은 상태에서 재석 190명, 찬성 190명으로 가결됐다.
특검팀은 추 전 원내대표가 계엄 선포 직후 윤 전 대통령 등과 통화한 내역도 확보해 수사 중이다.
당시 차를 이용해 자택에서 국회로 이동 중이던 추 전 원내대표는 홍철호 전 정무수석과 한덕수 전 국무총리에게 차례로 전화를 걸어 통화했고, 이후 윤 전 대통령과도 통화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검팀은 추 전 원내대표가 이들과 통화하면서 계엄 상황에서 여당 차원의 역할을 요구받은 것은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추 전 원내대표 측은 계엄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고 윤 전 대통령과 표결 방해를 논의하지도 않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만약 윤 전 대통령이 표결 방해를 지시했다면 의원들이 국회에 모이지 않도록 해야 했지만, 통화 이후 소집 장소를 다시 국회로 변경한 점 등을 근거로 들고 있다.
의원총회 장소 변경에 대해서는 당초 의원들에게 국회로 모이라고 공지했으나 당시 당 대표실에서 최고위원회의를 당사에서 열기로 해 엇박자가 생겼고, 여기에 국회 출입 통제가 더해져 불가피했다고 설명한다.
특검팀은 지난달 추 전 원내대표의 자택과 사무실, 의원실 등을 압수수색하며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이후 여야 의원들 다수를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하면서 계엄의 밤 국회 내부 상황과 의원들 간 의사소통 내용 등을 파악해왔다.
특검팀은 앞서 추 전 원내대표 측에 보다 이른 날 출석하라고 통보했으나, 국회 국정감사 일정 등을 고려해 조사 일시를 정해달라는 의견을 전달해와 소환 날짜를 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팀은 추 전 원내대표를 상대로 제기된 의혹 전반을 조사한 뒤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의원총회 장소 변경이 계엄 해제 표결을 방해하기 위한 의도적 행위였는지, 윤 전 대통령과의 통화 내용이 무엇이었는지 등이 수사의 핵심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