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연합뉴스]

올해 2분기 소득이 줄고 아파트 등 주택 구매가 늘면서 가계 여윳돈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자금순환 잠정' 통계에 따르면, 가계와 비영리단체의 2분기 순자금 운용액은 51조3천억원으로 집계됐다. 개인사업자를 포함한 수치다.

올해 1분기 92조9천억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한 뒤 한 분기 만에 40조원 넘게 줄었다. 지난해 2분기 마이너스 45조6천억원 이후 최대 감소 폭이었다.

순자금 운용액은 각 경제주체의 해당 기간 자금 운용액에서 자금 조달액을 뺀 값이다. 보통 가계는 순자금 운용액이 양수인 상태에서 여윳돈을 예금이나 투자 등을 통해 순자금 운용액이 대체로 음수 상태인 기업과 정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김용현 한국은행 자금순환팀장은 "1분기의 상여금 효과가 사라지면서 가계소득이 감소했고, 아파트 등 실물자산 투자가 확대돼 여유 자금이 줄었다"고 분석했다.

조달액을 고려하지 않은 가계의 2분기 자금 운용 규모도 76조9천억원으로, 1분기 101조2천억원보다 25조원가량 줄었다. 금융기관 예치금이 15조2천억원, 지분증권과 투자펀드가 11조4천억원 각각 감소했다.

가계가 2분기 조달한 자금은 25조6천억원으로, 1분기 8조2천억원의 3배 이상으로 늘었다. 금융기관 차입이 9조2천억원에서 29조원으로 급증한 영향이다.

명목 국내총생산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분기 말 89.7%로, 1분기 말 89.4%보다 0.3%포인트 상승했다. 이 비율이 상승한 것은 2021년 2분기 말 98.8%에서 3분기 말 99.2%로 오른 이후 15분기 만에 처음이다. 2023년 1분기와 2분기에 94.1%로 같은 수치를 기록한 이후로는 8분기 만에 하락세가 멈춘 것이다.

김 팀장은 "올해 3분기에는 가계부채 증가 폭이 관리됐고 GDP 성장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돼 2분기 비율 상승은 일시적인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전날 발표된 10·15 부동산 대책과 관련해 "시장 기대보다 높은 강도로 시행될 것으로 보여 향후 가계부채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고 언급했다.

비금융 법인기업은 2분기 순자금 조달 규모가 3조5천억원으로, 1분기 18조7천억원보다 15조2천억원 감소했다.

일반 정부의 순자금 조달 규모도 40조2천억원에서 2조7천억원으로 급감했다. 국채 발행이 감소하고 차입금 상환이 축소되면서 자금 조달이 크게 줄어든 영향이다.

GDP 대비 일반정부 부채 비율은 올해 1분기 말 47.1%에서 2분기 말 47.8%로 0.7%포인트 올라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힐링경제=윤현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