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 [자료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를 계기로 연쇄 국빈 방한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16일 복수의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정부는 경주 APEC 계기 방한이 예정된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을 '국빈'으로 초청하는 방안을 미국과 중국 두 나라와 막판 조율 중이다.

정상의 외국 방문에는 '국빈방문'과 '공식방문', '공식실무방문', '실무방문' 등 여러 형식이 있는데, '국빈'은 방문 형식 중 제일 격이 높다. 대대적인 환영식과 만찬이 수반되는 등 의전 수준에서 최고 예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9일부터 30일까지 1박 2일 일정으로 방한할 가능성이 크며, 29일에 한미정상회담과 국빈 만찬을 진행하는 방향으로 한미 당국이 협의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 주석의 방한 일정은 유동적인데, 현재로서는 30일에 경주를 찾아 한중정상회담을 하고 국빈 만찬을 진행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렇게 되면 국제사회의 양대 파워인 미국과 중국 정상을 하루 간격으로 국빈 행사로 맞게 되는 셈이다.

국빈 방한은 서울에서 진행되는 것이 통상적이지만, 이번에는 APEC 행사가 열리는 경주에서 진행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환영식 등이 다소 간소해질 가능성이 있다.

변수는 미중 정상회담이다. 당초 APEC을 계기로 열릴 것으로 예상되던 미중 정상회담 일정이 최근 양국 간 무역갈등이 재점화한 분위기와 맞물려 아직 확정되지 않고 있다. 현재로서는 30일에 미중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외교가의 시각이다.

다만 외교당국은 미중 정상회담의 성사 여부와 무관하게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의 국빈 방한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최근 중국이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를 제재하면서 시 주석 방한 형식에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지만, 그렇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한편 시 주석 방한 전 한국을 찾아 관련 준비를 할 것으로 예상되던 왕이 중국 외교부장의 방한은 어려워진 분위기다. 왕이 부장은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을 겸임하고 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지난달 17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외교장관회담에서 APEC 정상회의 전 왕 부장의 방한을 초청한 바 있다.

왕 부장은 중국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 등 다음 주에 각종 정치일정이 많아 방한이 어렵고, 차관이나 차관보급에서 한국을 찾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측의 한 외교 소식통은 "왕 부장이 APEC 전에 오는 건 어려울 것 같다"며 그 배경으로 중국에서 진행되는 정치 행사에 고위급 인사가 참석해야 한다는 점을 들었다.

한국의 외교 소식통은 왕 부장의 방한 무산 여부에 대해 "현재 상황에서 확정은 아니다"라면서도 "사전 준비가 다 되어 있으면 굳이 올 필요가 없지 않나"고 말했다.

[힐링경제=김재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