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란특검, '계엄해제 방해' 추경호 전 국힘 원내대표 압수수색 [자료사진=연합뉴스]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2일 '계엄 해제 방해 의혹'과 관련해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에 대한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이날 오전부터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추 전 원내대표의 자택을 압수수색하고 있다.
아울러 국회 내 의원실도 압수수색하기 위해 국회 사무처와 영장 집행 절차를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수사 범위는 추 전 원내대표 개인에 그치지 않고 당시 비상계엄 상황에서 그를 수행했던 당 사무처 직원의 자택까지 확대됐다. 이는 특검팀이 계엄 당시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검팀이 주목하고 있는 핵심 의혹은 작년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이후 추 전 원내대표 등이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의 요청을 받고 의원총회 장소를 여러 차례 변경함으로써 다른 의원들의 계엄 해제 표결 참여를 의도적으로 방해했다는 것이다.
당시 추 전 원내대표는 비상 의원총회 소집을 공지하면서 장소를 국회로 안내했다가 여의도 당사로 변경했다. 이후 다시 소집 장소를 국회로 공지했다가 재차 여의도 당사로 변경하는 혼란스러운 상황이 벌어졌다.
이러한 장소 변경으로 인해 상당수 국민의힘 의원들이 계엄 해제 의결에 참석하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은 국민의힘 소속 108명 중 90명이 참여하지 않은 상태에서 재석 190명 전원 찬성으로 가결됐다.
특검팀은 추 전 원내대표가 계엄 선포 직후 윤 전 대통령 등 핵심 인사들과 나눈 통화 내역도 확보해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당시 자택에서 국회로 이동 중이던 추 전 원내대표는 홍철호 전 정무수석과 한덕수 전 국무총리에게 차례로 전화를 걸어 통화했으며, 이후 윤 전 대통령과도 직접 통화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검팀은 이러한 일련의 통화 과정에서 추 전 원내대표가 계엄 상황에서 여당 차원의 특정한 '역할'을 요구받았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통화 내용과 시점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계엄 해제 표결 방해가 조직적으로 이뤄졌는지 여부를 규명한다는 방침이다.
특검팀은 당시 추 전 원내대표의 구체적인 동선을 파악하고 이를 시간순으로 재구성하여 장소 변경과 이동, 외부 연락 과정에서 어떤 상황이 벌어졌는지 면밀히 조사할 계획이다. 또한 당시 추 전 원내대표를 수행했던 직원들을 통해서도 그의 행적을 추적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해 추 전 원내대표 측은 계엄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으며 윤 전 대통령과 표결 방해를 논의한 사실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만약 윤 전 대통령이 표결 방해를 지시했다면 의원들이 아예 국회에 모이지 않도록 해야 했지만, 통화 이후 소집 장소를 다시 국회로 변경한 점이 이를 반박하는 근거라고 주장하고 있다.
의원총회 장소 변경에 대해서는 당초 의원들에게 국회 집결을 공지했으나, 당시 당 대표실에서 최고위원회의를 당사에서 열기로 결정하면서 엇박자가 생겼고, 여기에 국회 출입 통제 상황이 더해져 불가피한 조치였다고 해명하고 있다.
특검팀은 이미 지난달 21일 국회 사무처를 압수수색하여 폐쇄회로(CCTV) 영상 등 관련 증거를 확보한 바 있다.
당시 압수수색영장에는 추 전 원내대표가 피의자로 기재되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특검팀은 이날 확보한 자료들을 종합 검토한 후 추 전 원내대표를 소환하여 계엄 해제 방해 의혹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에 나설 방침이다.
12·3 비상계엄 사태의 전모를 밝히기 위한 특검 수사가 정치권 핵심 인물들로 확대되면서 향후 수사 결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힐링경제=하현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