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 한·미 정상회담 [자료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첫 정상회담을 열고 북미 정상 간 대화 가능성과 한미 경제 협력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세계 평화의 피스메이커”로 평가하며 “한반도에도 평화를 가져와 달라”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만남을 요청했다.
이 대통령은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도 최근 발언에서 두 분의 특별한 관계는 의심하지 않았다”며 “김정은 위원장이 기다리고 있다는 뜻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그는 “저는 ‘페이스메이커’로서 지원할 테니 대통령께서 ‘피스메이커’가 되어 달라”고 덧붙였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과의 만남은 매우 좋은 일이라고 생각하며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재임 1기 시절 두 차례 북미 정상회담을 떠올리며 “나는 김 위원장을 누구보다 잘 안다”며 “올해 그와 다시 만나고 싶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양 정상은 조선업을 비롯한 경제 협력 강화에도 뜻을 모았다.
이 대통령은 “미국 제조업 르네상스 과정에 한국도 함께하길 바란다”며 동맹을 경제·과학기술 분야로 확대하자고 제안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미국 조선업은 사실상 중단된 상태이기에 한국과 협력해 다시 부흥시키길 원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시간이 걸리겠지만 미국 조선업을 위대하게 만들 것”이라고 답했다.
에너지 협력과 한미일 공조 문제도 논의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미국은 알래스카에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며 협력 의지를 밝혔다.
그는 일본과의 관계에 대해 “위안부 문제 등으로 양국 관계가 껄끄러웠지만, 일본도 한국과의 관계 개선을 바라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 대통령 역시 “한미일 협력은 매우 중요하다”며 “최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만나 장애 요소들이 많이 해소됐다”고 전했다.
중국 문제도 대화에 올랐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과 최근 대화를 했으며 조만간 방중할 수도 있다”며 “이 대통령도 함께 가면 좋겠다”고 농담을 건넸다.
이 대통령이 “같이 가면 좋겠다”고 화답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특별 허가가 필요하지만 중국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올해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 여부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참석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답했으며, 이 자리에서 김정은 위원장과의 재회 가능성도 다시 언급했다.
한편, 주한미군 감축 문제에 대해서는 “지금 말하고 싶지 않다”며 즉답을 피했다.
다만 “주한미군 기지는 한국 땅을 임차해 사용 중인데, 미국이 막대한 비용을 투자했으니 소유권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이번 정상회담은 한미 양국 정상이 북미 대화 재개 가능성과 경제 협력, 한미일 공조, 미중 관계까지 포괄적으로 의견을 나누는 자리였으며, 향후 동북아 정세에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힐링경제=홍성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