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연합뉴스]
우리나라 성인들의 전반적인 금융이해력이 2년 전에 비해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플레이션의 실질 구매력 영향에 대한 이해도가 크게 떨어진 점이 두드러지며, 계층 간 금융이해력 격차도 확대되고 있어 맞춤형 금융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이 29일 발표한 '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성인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65.7점으로 2022년(66.5점)보다 0.8점 하락했다. 그러나 이는 OECD 평균(2023년 기준 62.7점)보다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금융이해력은 금융 지식, 금융 행위, 금융 태도의 세 가지 분야를 종합적으로 측정한 것으로, 이번 조사는 지난해 9월 2일부터 11월 1일까지 만 18~79세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금융 지식 점수는, 73.6점으로 2022년(75.5점)보다 1.9점 하락했고, 금융 행위 점수도 64.7점으로 2022년(65.8점)보다 1.1점 낮아졌다. 그럼에도 두 항목 모두 OECD 평균(금융 지식 66.9점, 금융 행위 61.6점)을 상회했다.
반면, 미래를 대비하는 금융 태도 점수는 53.7점으로 2022년(52.4점)보다 1.3점 상승했으나, OECD 평균(58.0점)에는 미치지 못했다.
이는 우리나라 성인들이 금융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은 갖추고 있으나, 미래를 위한 장기적 관점의 금융 태도 형성에는 여전히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주목할 만한 점은 금융 지식 항목 중 인플레이션이 실질 구매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해도 점수가 2022년 78.3점에서 지난해 56.6점으로 무려 21.7점이나 급락했다는 사실이다. 이는 전체 금융이해력 점수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이에 대해 한국은행 관계자는 "해당 점수가 물가 상승률이 높았던 2022년 큰 폭으로 상승했다가 이번 조사에서는 예년 수준으로 하락한 점을 고려하면, 지난해 물가상승률 둔화에 따른 일반인의 인플레이션 관심도 하락이 이번 조사 결과에 반영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응답자 특성별로는 20대와 70대, 저소득층, 저학력층의 금융이해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 준비와 자산운용에 관심이 많은 50~60대와 고소득층의 점수는 상승한 반면, 청년층과 노령층, 저소득층의 점수는 하락하면서 계층별 격차가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금융 행위 항목에서는 평소 재무 상황 점검(43.4점)과 장기 재무 목표 설정(42.5점)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특히 20대 청년층의 재무 점검 점수는 33.2점으로 2022년(55.8점)보다 22.6점이나 급락했고, 재무 목표 점수도 36.1점으로 2022년(48.0점)보다 11.9점 하락해 눈길을 끌었다.
장기 재무 목표가 있는 성인들이 꼽은 가장 중요한 재무 목표는 주택구입(25.8%)이었으며, 자산 증식(19.9%), 결혼 자금(13.9%)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는 우리 사회에서 여전히 주택 마련이 가장 중요한 재무 목표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디지털 금융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보여주는 디지털 금융이해력 총점은 45.5점으로, 2022년 조사(42.9점) 대비 2.6점 상승했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금융 서비스 이용이 확대되고 디지털 금융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가 전반적으로 높아졌음을 시사한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금융 지식 부문에서 인플레이션이 실질 구매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고, 금융 행위 부문에서는 재무관리 활동이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관련 부분에 대한 맞춤형 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됐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 결과는 우리나라 성인들의 금융이해력이 전반적으로 OECD 평균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세부 항목별로는 여전히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20대와 저소득층의 금융이해력 하락 추세는 이들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금융교육 프로그램의 강화가 시급함을 시사하고 있다.
[힐링경제=윤현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