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연합뉴스]
국내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2월 기준 0.58%를 기록하며 6년 3개월 만에 최고 수준으로 상승했다.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의 경영난이 심화되는 가운데 금융당국은 연체율 상승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25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58%로 전월 말 대비 0.05%포인트(p) 상승했다.
이는 2018년 11월(0.60%) 이후 63개월 만의 최고치로, 경기 침체와 고금리의 영향이 본격적으로 대출 상환 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주목할 만한 점은 2월 중 신규연체 발생액이 2조9천억원으로 전월 대비 3천억원 감소했고,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1조8천억원으로 같은 기간 8천억원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연체율이 상승했다는 것이다.
금감원은 "신규연체가 감소하고 정리 규모가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연체율이 전월에 이어 또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기업대출 중에서도 중소법인과 개인사업자대출의 연체율이 특히 크게 상승했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0.10%로 전달 말보다 0.05%p 상승한 데 비해,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84%로 같은 기간 대비 0.07%p 상승했다.
세부적으로는 중소법인 연체율이 0.90%로 전월 대비 0.08%p 상승했고,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도 0.76%로 0.06%p 올랐다.
이러한 상승세는 고금리와 경기둔화의 여파가 영세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누적된 부채 부담과 소비 위축이 겹치면서 상환 능력이 약화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반면 가계대출의 연체율은 0.43%로 전월 말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29%로 전월 말과 동일했으며,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의 연체율은 0.89%로 0.05%p 상승했다.
이는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상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신용대출 등 무담보 대출에서는 연체 위험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금융감독원은 이러한 연체율 상승세에 대응하여 "향후 신용위험 확대 가능성 등에 대비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한편, 적극적인 연체·부실채권 상·매각 등을 통해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 기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한 연체율 상승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고 있다.
특히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의 신용위험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시점이다.
금융권에서는 연체율 상승이 은행의 건전성에 직접적인 위협으로 작용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으나, 경기 상황이 더욱 악화될 경우 금융 시스템 전반에 미칠 영향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은행들의 충당금 적립 강화와 함께 취약 차주 대상 금융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을 통해 연체율 상승세를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힐링경제=윤현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