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광범위한 관세 정책이 국제 무역 질서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의 강경한 무역 정책에 대해 각국이 상이한 대응 전략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선진국들의 대응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었다.
캐나다와 유럽연합(EU)은 미국의 관세 정책에 강력히 맞대응하는 전략을 선택했다. 반면 멕시코와 같은 국가들은 협력과 양보의 길을 택했다.
캐나다는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대응해 298억 캐나다달러(약 30조원) 규모의 미국 상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했다.
EU 또한 260억 유로(약 41조원) 상당의 미국산 상품에 대한 보복 관세를 예고했으나, 현재는 협상 국면에 있다.
멕시코는 대조적으로 더욱 유화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펜타닐 마약 유입과 불법 이민 차단을 위해 1만 명의 군 병력을 국경에 배치하겠다고 약속했다.
인도와 베트남 같은 국가들은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인도는 미국산 수입액의 55%에 해당하는 230억 달러 규모의 상품에 대해 관세 인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베트남 역시 LNG, 자동차, 목재 등에 대한 관세를 대폭 인하할 계획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이번 관세 공세는 소위 '더티 15' 국가들을 중심으로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상국에는 G20 주요국, EU, 호주, 브라질, 캐나다, 중국, 인도, 일본, 멕시코, 러시아, 베트남, 한국 등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WSJ은 이러한 상황에 대해 "각국의 레버리지와 경제 상황에 따라 대응 전략이 달라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더욱 강경한 관세 정책으로 맞대응할 가능성이 높아 실질적인 해결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국제 무역 전문가들은 이번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공세가 글로벌 무역 질서에 미칠 장기적 영향을 우려하고 있다.
국가 간 무역 갈등이 심화될 경우 세계 경제에 부정적인 파급효과를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각국의 대응 전략과 미국의 추가 조치가 주목된다.
무역 갈등의 해법을 찾기 위한 국제사회의 외교적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 보인다.
[힐링경제=김재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