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업 한파, 일감 기다리는 일용직 구직자들로 가득찬 인도 [자료사진=연합뉴스]
국내 내수 부진이 장기화되면서 가장 먼저 타격을 입은 일자리는 매장에서 근무하는 판매직과 건설 현장 종사자들이었다.
무인화 확산과 경기 침체가 겹치면서, 이들의 고용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2023년 10월 기준) 매장판매 종사자는 150만7천 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5.2%를 차지해 가장 많았지만, 1년 전과 비교하면 무려 10만 명이 줄어들며 직업군 중 감소 폭이 가장 컸다.
건설업과 광업 분야 단순노무 종사자도 6만1천 명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은 특히 타격이 컸다.
올해 2월 기준 건설업 취업자 수는 192만1천 명으로, 이는 전년 동월 대비 16만8천 명이 감소한 수치다.
2017년 1월(188만9천 명)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러한 감소는 내수 위축과 건설 경기 불황, 그리고 민간 및 공공 건설 발주 축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서비스업의 무인화도 판매직 감소에 한몫하고 있다.
키오스크와 무인계산대의 확산은 전통적인 매장 근로자의 필요성을 줄이고 있다. 이는 단기적으로는 비용 절감을 유도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일자리 감소라는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반면, 일부 직종에서는 고용이 오히려 증가했다.
청소 관련 종사자는 124만9천 명으로, 전년 대비 4만6천 명이 늘어나며 증가폭이 가장 컸다. 이어 전기·전자공학기술자 및 시험원도 4만3천 명 증가했다. 이는 고령화로 인한 환경 관리 수요 증가와 첨단산업 인력 수요 확대가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연령별 취업자 구성도 뚜렷한 특성을 보였다.
청년층(1529세)과 3049세는 매장판매 종사자 비중이 각각 7.7%, 4.4%로 가장 높았고, 50세 이상에서는 작물재배 종사자 비중이 9.2%로 가장 많았다. 이는 고령층의 귀농귀촌 증가와 농업 부문 노동력 수요가 맞물리며 나타난 현상으로 해석된다.
직업 유형에 따른 고용 구조도 흥미롭다. 상용근로자 가운데는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가 30.1%로 가장 많았으며, 사무직(27.0%),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11.3%)가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임시·일용직에서는 단순노무 종사자가 40.8%로 압도적 다수를 차지했고, 서비스 종사자(17.9%), 판매 종사자(11.2%) 순이었다.
비임금근로자 중에서는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가 22.3%로 가장 많았고, 서비스 종사자(15.6%), 판매 종사자(15.4%)가 뒤를 이었다. 이는 자영업 중심의 농업과 서비스 산업이 여전히 고용의 큰 축을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임금 수준에 있어서도 변화가 감지됐다.
전체 임금근로자 중 월급이 200만300만원인 근로자가 31.6%로 가장 많았으며, 400만원 이상은 26.5%, 300만400만원은 22.0%였다.
다만 주목할 점은 월 100만원 미만을 버는 저임금 근로자도 전체의 9.6%에 달했다는 점이다. 이는 1년 전보다 0.4%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고소득층 비중은 늘어난 반면, 중간소득층(200만300만원)과 저소득층(100만200만원)의 비중은 각각 1.6%포인트, 1.1%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소득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산업별로는 음식점업이 166만2천 명(5.8%)으로 취업자가 가장 많았다.
뒤이어 비거주복지시설운영업(159만4천 명·5.5%), 작물재배업(140만7천 명·4.9%) 순이었다. 특히 비거주복지시설운영업은 8만8천 명 증가하며 가장 큰 폭의 고용 증가를 기록했다. ]
반면 건물건설업은 8만6천 명이 줄어들며 감소폭 1위를 기록했다.
연령별로 보면 청년층과 30~49세 취업자 비중이 가장 높은 산업은 음식점업(각각 10.4%, 4.5%)이었고, 50세 이상은 작물재배업(9.6%)에 가장 많이 종사하고 있었다.
2023년 하반기 기준 전체 취업자는 2,884만7천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8만3천 명 증가했지만, 산업과 직종 간 고용 양극화, 연령대별 고용 분포의 불균형, 임금 격차 확대는 여전히 구조적인 과제로 남아 있다.
경제 회복과 디지털 전환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쫓는 지금, 정책은 단순한 고용 창출에 머무르지 않고 ‘누구를 위한 일자리인가’를 묻는 정교한 접근이 필요하다.
[힐링경제=윤현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