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국하는 최상목 경제부총리 [자료사진=연합뉴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으로 향하는 출국길에서 한미 통상 관계의 새로운 장을 열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명했다.

최 부총리는 22일 인천국제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미 동맹을 새롭게 다지는 논의의 물꼬를 트고 돌아오겠다"고 밝혔다.

이는 전통적인 안보 중심의 한미동맹을 경제·통상 분야로 확장해 더욱 포괄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경제안보가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부상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한미 양국 간 경제·통상 협력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는 인식을 반영한 발언으로 보인다.

최 부총리는 이날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리는 '한미 2+2 통상 협의'와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참석을 위해 출국했다.

오는 24일에는 최 부총리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 측의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USTR(미국무역대표부) 대표와 만나 통상 현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주목할 점은 이번 '한미 2+2 통상 협의'가 미국 측의 제안으로 성사됐다는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G20 재무장관 회의에서는 한미 재무장관이 양자 회담을 통해 외환·금융 현안을 논의하는 것이 관례였으나, 이번에는 통상 수장까지 포함된 확대 회의로 발전하면서 양국 간 무역·통상 이슈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논의의 장이 마련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대해 기획재정부는 "한미 2+2 통상협의 의제는 미국과 조율 중이며 아직 확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최근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반도체 과학법(CHIPS Act) 등 자국 산업 보호 정책이 강화되는 상황에서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와 관련된 쟁점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또한 미국이 중국과의 전략적 경쟁 구도 속에서 동맹국과의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이번 회의에서는 반도체, 배터리, 희토류 등 핵심 산업 분야에서의 협력 방안도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통상 전문가들은 이번 '한미 2+2 통상협의'가 양국 간 경제 협력을 강화하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면서도,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기조 속에서 한국의 이익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최 부총리의 이번 방미 일정은 24일 한미 2+2 통상협의에 이어 25~26일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에 참석하고, 국제통화기금(IMF)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총재 등 주요 국제기구 수장들과도 만날 예정이다.

[힐링경제=윤현철 기자]